•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4년도 하루 평균 요양기관 4.54개씩 증가 '한방병원' 확대 vs '요양병원' 둔화 추세

인구 1만명당 요양기관 수, ‘ 대구 중구’ (66.74개소) 최다 vs ‘ 부산 강서구’ (8.92개소) 최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평원)은 5월 12일(화) 국민건강보험법령으로 관리되고 있는 2014년 말 기준 우리나라 요양기관(병·의원 등) 현황 통계를 발표하였다.

이번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심평원의 요양기관 수와 행정자치부의 지방자치단체별 인구수 및 면적 등을 연계 분석하였으며,

특히, 지방자치단체 간 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주요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양기관 창업을 준비하는 의료인들에게 개원지역 선택에 유용한 정보로 제공·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4년도 우리나라 요양기관 현황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전체현황) 2014년 요양기관 수는 총 86,629개소로 2013년 대비 1,658개소(1.95%↑ )가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이 증가한 종별은 의원으로 33.47%(555개소)를 차지하고 있다.

한방병원은 2014년 증가율(8.96%↑ )이 2013년 증가율(5.47%↑ )보다 3.49%p 상승하여 증가세가 확대되는 반면,

* (’ 13년 증가수) 11개소 → (’ 14년 증가수) 19개소

요양병원은 2014년 증가율(8.52%↑ )이 2013년 증가율(11.70%↑ )보다 3.17%p 하락하는 등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 13년 증가수) 129개소 → (’ 14년 증가수) 105개소

(지방자치지역별) 전체 요양기관의 49.72%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집중되어 있으며, 요양기관 수가 가장 많은 서울특별시 강남구(2,761개소)는 가장 적은 경상북도 울릉군(10개소)에 비해 약 276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강남구는 울릉군에 비해 인구수는 약 56배 더 많으나, 요양기관 수는 약 276배가 더 많음에 따라 인구 대비 요양기관의 분포 불균형이 매우 큼

특히, 11개 요양기관 종류* 중 6개 종류(병원,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한의원, 약국)에서 강남구가 요양기관 수 1위를 차지하였으며,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한방병원, 한의원, 약국, 기타(조산원 및 보건기관)

요양병원은 경상남도 김해시(28개소), 한방병원은 광주광역시 북구(24개소)가 각각 최다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상북도 울릉군에는 보건기관 및 한의원을 제외한 의원 및 치과의원이 없어 의료혜택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만명당) 2014년 요양기관 수는 16.88개소이며, 기초자치지역 중 최다는 대구 중구 66.74개소, 최소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8.92개소로 확인되었다.

시지역 평균은 15.16개소로, 군지역 17.57개소 및 구지역 18.52개소는 물론, 전체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다지역 대비 최소지역의 편차가 시지역은 12.05개소로, 군지역 16.62개소 및 구지역 57.85개소 보다 오히려 작아 군 및 구지역에서 지역별 불균형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보였다.

(요양기관 밀도) 2014년 요양기관 밀도는 0.86으로, 우리나라 면적 1㎢당 요양기관이 0.86개소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지역 중 대구광역시 중구는 1㎢당 요양기관 74.50개소가 분포하고 있어 밀도가 가장 높은 반면,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도 인제군과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1㎢당 요양기관 0.03개소가 분포하였다.

심평원 박영자 자원기획부장은 "이번에 발표한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지역별 보건의료자원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시군구 단위의 세분화된 기본통계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국민, 요양기관, 정부 등에 도움이 되는 보건의료자원 통계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14년 의료자원 통계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정보공개/통계정보/통계자료실

 

[보건복지부 2015-05-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95 고가수리비ㆍ렌트비 등 고가차량이 야기하는 각종 문제점을 개선하여 일반차량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122
12694 염화벤잘코늄이 규정보다 많이 포함된 FEG 눈썹강화제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2 122
1269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담배연기 성분 분석 분야‘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 받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92 늘어나는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제도 보완 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91 보험계약을 부활시킬 수 있는 기간이 연장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122
12690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메니에르병」, 평소 생활습관 관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122
12689 포드, 페라리, 스카니아, 혼다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122
12688 자동차리스 관련 소비자 권익 제고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122
12687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2686 한국소비자원 부산지원, ‘신발 전문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1 122
12685 '15.5월 전월세 거래량은 11.6만건으로 전월대비 10.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6 122
» 2014년도 하루 평균 요양기관 4.54개씩 증가 ´한방병원´ 확대 vs ´요양병원´ 둔화 추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3 122
12683 학교폭력 집중 관리 기간(3~4월), 학교폭력 예방에 총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122
12682 행복주택 입주자격, 간편하게 진단해 드려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122
12681 ‘소아암’, 성인과는 달리 ‘백혈병’ 비중이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