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수출은 40.3% 상승, 국제적 경쟁력을 가지고 글로벌 시장 진출 -

□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이 최근 5년 동안 평균 10%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수출도 같은 기간 평균 30% 급증하는 등 국내 화장품 산업이 고속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14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이 8조9,704억원으로 ‘13년(7조9,720억원)에 비해 12.5% 증가하였고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도 10.5%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 또한 화장품 수출도 급증하여 지난해 수출은 18억7만달러로 ‘13년(12억8,341만달러)에 비해 40.3%나 급증했으며 최근 5년 평균도 34%나 되었다.

□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생산실적 지속 증가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중국, 홍콩에 수출 급증 속에서 미국, 프랑스 등으로부터 수입 증가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등이다.
※ 기능성화장품: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

〈 생산실적 지속 증가 〉
○ 지난해 국내 화장품의 생산실적은 8조9,704억원으로 최근 5년 평균 10% 이상 성장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 지난해 생산실적을 ’10년(6조146억원)과 비교해 보면 약 50% 정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생산실적(억원): 6조146(’10년)→ 6조3,856(‘11년)→ 7조1,227(’12년)→ 7조9,720(‘13년) → 8조9,704(‘14년)

〈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
○ ‘14년 화장품 수출은 18억7만달러로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은 34.3%로 고속 성장하고 있다.
※ 수출실적(천달러, 증가율): 596,934(‘10년, 43.5%)→ 804,503(’11년, 34.8%)→ 1,067,002(‘12년, 32.6%)→ 1,283,414(’13년, 20.3%)→ 1,800,072(‘14년, 40.3%)
- 특히, ‘12년에 10억달러를 넘어선 이후에도 급성장하여 ’14년에는 ‘13년보다 40%나 증가했다.
- 반면, 수입 증가율은 수출에 비해 낮았으며 지난해의 경우 수입은 10억4,756만달러로 ‘13년에 비해 7.8% 증가하는데 그쳤다.
※ 수입실적(천달러): 851,085(‘10년)→ 988,762(’11년)→ 977,739(‘12년)→ 971,963(’13년)→ 1,047,569(‘14년)
○ 화장품 무역수지는 수출 증가에 힘입어 흑자로 돌아선 `12년 이후 계속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해의 경우 무역수지는 ‘12년(8,926만달러 흑자)에 비해 8배 이상 증가한 7억5,250만달러 흑자로 조사되었다.
※ 무역수지(천달러): -254,151(‘10년)→ -184,259(’11년)→ 89,263(‘12년)→ 311,451(’13년)→752,503(‘14년)
○ 화장품 수출 증가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품질향상,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중국, 홍콩에 수출 급증 속에서 미국, 프랑스 등으로부터 수입 증가 〉
○ 지난해 국내에서 제조한 화장품이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중국(5억3,360만달러)이었으며, 그 뒤로 홍콩(4억5,253만달러), 일본(1억8,766만달러), 미국(1억2,442만달러), 대만(1억689만달러), 태국(7,781만달러) 등이었다.
※ 수출실적 국가순: 중국, 홍콩, 일본, 미국, 대만,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러시아
- 특히, 중국에 대한 화장품 수출 성장률은 86.7%로 가장 높았으며, 홍콩도 69.7%나 증가하여 이 두 나라의 수출실적 점유율은 54.8%나 되었다.
- ‘14년 수출 상위 10개국에 대한 수출실적은 16억4,020만달러로 전체 수출실적(18억7만달러)의 91.1%였다.
○ 지난해 화장품 수입은 10억4,757만달러였으며, 수입 상위 10개국으로부터 9억8,132만달러가 수입되어 전체의 93.7%를 차지했다.
- 미국(3억2,280만달러), 프랑스(2억9,810만달러), 일본(1억2,105만달러), 이탈리아(5,270만달러), 영국(4,946만달러) 등의 순으로 화장품 수입이 많았으며, 상위 3개국의 수입실적이 전체의 70.8%를 차지했다.
※ 수입실적 국가순: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영국, 태국, 독일, 캐나다, 중국, 스위스

〈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
○ 지난해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2조9,744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3.2%로 조사되어 생산실적과 점유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연도, 점유율): 1조6,418억원(‘11년, 25.7%)→ 2조1,483억원(’12년, 30.2%)→ 2조5,638억원(‘13년, 32.2%)
○ 기능성화장품 중에서는 2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이 1조6,438억원(기능성화장품 중 55.3%)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단일 기능성화장품으로는 주름개선(7,518억원), 자외선차단(3,408억원), 미백 기능(2,379억원)의 순이었다.
- 각각의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복합된 기능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바쁜 현대인에게 더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 화장용 제품이 5조929억원(56.8%)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색조화장용(1조4,264억원(15.9%)), 두발용(1조3,047억원(14.5%)), 인체세정용(6,447억원(7.2%)) 등이 그 뒤를 따랐다.
- 기초 화장용 제품 중에서는 로션·크림제의 생산실적이 1조9,520억원(21.8%), 에센스·오일이 1조465억원(11.7%), 수렴·유연·영양 화장수가 7,230억원(8.1%)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생산실적 1위는 아모레퍼시픽, 제품은 ‘설화수 자음생 크림’ 〉
○ ‘아모레퍼시픽’이 3조5,166억원을 생산하여 국내 생산실적의 39.2%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엘지생활건강’이 2조670억원(23.0%), ‘더페이스샵’ 1,573억원(1.75%), ‘애터미’ 1,551억원(1.73%), ‘에이블씨엔씨’가 1,486억원(1.66%) 등의 순이었다.
○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제품은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자음생크림(60mL)’(794억원)이었으며, ’설화수 자음유액(125ml)‘(761억원), ’설화수 자음수(125mL)‘(754억원), '헤라UV미스트쿠션C21호(30g)'(741억원), 설화수윤조에센스(90mL)‘(613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 식약처는 국내 화장품 수출을 포함한 생산실적이 급증하는 것은 국산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향후에도,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도의 국제 조화 및 합리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국산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중국, 홍콩, 동남아 시장 뿐 아니라 유럽, 중남미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글로벌 시장에 부합하는 우수한 브랜드와 다양한 품목 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5-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0 생필품 가격정보 ‘참가격’ 앱 서비스 시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1 92
2329 상하수도요금·주정차위반과태료도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납부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30 92
2328 '금융거래시 제출서류 등 간소화' 추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92
2327 내가 사는 마을, 내 손으로 직접 가꿔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0 92
2326 경찰, 누리망‘직거래사기’예방 및 적극 수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1 92
2325 모기기피제 허가현황 관련 정정보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1 92
2324 2015년 상반기 3,105억원의 보험사기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7 92
2323 29개 장례식장 사업자의 불공정 약관조항 시정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92
2322 결혼박람회 통한 결혼준비대행서비스 충동계약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92
2321 10.30일부터 출생 후 1년까지 기저귀·조제분유 국가가 지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92
2320 2015년 8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92
2319 행자부, 불필요한 주민번호 수집 근거법령 일제정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92
2318 철도종사자 적성검사가 더 편리해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30 92
2317 수입 ‘마늘쫑’ 및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위반 훈제연어 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92
2316 당뇨병 환자용 혈당관리 소모품 및 장애인보장구 건강보험 지원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3 92
Board Pagination Prev 1 ...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