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형용 필러 안전사용을 위한 안내서’발간 -

□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얼굴 주름 부위의 개선을 위해 성형용 필러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눈가 부위 주름, 입술 주름에는 필러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성형용 필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 등 안전사용에 도움을 주고자 ‘성형용 필러 안전사용을 위한 안내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 ‘성형용 필러’란 얼굴 주름 부위의 시각적인 개선을 위해 피부에 주입하는 것으로, 약리적 작용 없이 얼굴 주름으로 인해 생긴 피부 내 공간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는 제품이다.
○ 국내 성형용 필러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43% 성장하는 등 필러를 시술받는 자가 많아지면서 그 부작용 사례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 성형용 필러 연도별 시장 규모(억원) :
189(‘09) → 310(’10) → 375(‘11) → 607(’12) → 783(‘13)
○ 성형용 필러로 인한 부작용 사례는 염증반응, 피부괴사, 통증, 시력감소 등이 있으며, 특히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눈 또는 코 주변 부위 시술 시 혈관에 잘못 주입되는 경우에는 실명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연도별 부작용 신고 현황(건) : 57(‘12) → 73(’13) → 102(‘14)

□ 성형용 필러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필러 사용 전․후 주의사항 등을 반드시 숙지하도록 해야 한다.

< 성형용 필러 사용 전 주의 사항 >
○ 성형용 필러는 안면부 주름의 개선을 목적으로 허가된 것이며, 입술 주름과 눈가 부위 등은 안면부에 포함되지만 혈관의 분포도가 높은 해부학적 특성상 필러가 주입되었을 경우 혈관이 막히면서 실명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제품의 특성과 가능한 부작용을 의료인과 충분히 상담하고 선택해야 한다.
- 또한 안면부 주름 개선 이외에 ▲유방, 엉덩이, 종아리 등 신체부위의 볼륨증대 ▲손, 발의 주름개선 ▲뼈, 힘줄, 인대, 근육 이식 등은 허가된 사항이 아니다.
○ 다른 치료를 받고 있거나 약(아스피린, 항우울제 등)을 복용 중인 경우 반드시 해당 사항을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 항응고 성분이 들어 있는 의약품은 혈액의 응고를 방해하여 시술부위에 멍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홍보용 자료에 충동적으로 시술을 결정하지 말고, 시술을 통해 기대하는 결과에 대해 의사와 사전에 충분히 상의해야 한다.
○ 성형용 필러 시술은 의료시술임을 반드시 인지하고, 주입절차를 수련한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게 시술받는 것이 좋다.

< 성형용 필러 사용 후 주의 사항 >
○ 음주, 흡연은 상처의 회복을 지연시키므로 삼가야 한다.
○ 과격하고 무리한 운동을 자제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해야 하며, 시술 직후 찜질방, 사우나와 같은 강한 열 또는 추위에의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 시술 부위를 강하게 마사지하거나 만지지 말아야 하며, 시술 후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시술받은 병원에 즉시 연락․방문하여 조치를 받아야 한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효율적인 의료기기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의료인과 소비자도 의료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확인하도록 당부하였다.
○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 대한성형외과학회 및 대한성형외과의사회를 통해 전국의 병원에 배포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 정보자료 → 홍보물자료 → 일반 홍보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5-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1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3 13
1980 WHO 에볼라바이러스병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 선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9 13
1979 장기기증자 유족에게 지원되는 장제비, 진료비 등 지원금 신청시 서류 간소화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6 13
1978 국민건강영양조사 음식별 식품재료량 자료집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4 13
1977 올 하반기, 민원서류 제출이 더욱 쉬워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1976 금융꿀팁 200선 - 대부업 관련 주요 민원사례 및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1975 미세먼지, 국민의 아이디어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13
1974 하나의 아이디로 온라인 공공서비스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1973 더욱 새로워진‘정부24’, 더 쉽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1972 스리랑카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3
1971 주요 10개 게임서비스사업자들의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조항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6 13
1970 7월 5일부터 광주 모든 시내버스에서 와이파이 이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4 13
1969 국민권익 구제사례 담은 ‘행정심판 재결례집’ 서른 번째 발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13
1968 강원 화천, 원주지역 주민 '생활 속 고충' 상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2 13
1967 안전신문고, 생활안전 위협요인을 신고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7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