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직원들이 통상적인 근무시간(9시~18시)에 구애받지 않고 하루 중 업무효율성이 가장 높은 시간대를 본인이 선택해 근무하는 자율출퇴근제를 20일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밝혔다. 자율출퇴근제는 직원들이 자신의 생활패턴에 맞춰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제도로 민간에서는 보편화 돼 있다. 반면 공직사회의 경우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 있기는 하지만 아직 활성화되고 있진 않은 실정이다. 이에 행정자치부는 정종섭 장관 취임 이후 추진하는 ‘일하는 방식 혁신’ 일환으로 대대적인 자율출퇴근 제도를 실행하기로 했다.

행정자치부는 우선 기획조정실 소속 창조행정담당관실, 정보통계담당관실, 국제행정협력담당관실 등 3개 부서를 대상으로 제도를 시행한 뒤, 다른 부서에도 단계적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3개 부서 직원들은 본인 역할 및 담당 업무 등을 감안해 업무 시간을 설정, 출퇴근할 수 있게 된다. 대상 직원들은 ▲하루 4~12시간 ▲주 5일 ▲주당 40시간 근무라는 세가지 요건만 충족하면 06:00~24:00 중에서 자유롭게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조정해 근무할 수 있다.

앞서 행정자치부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양립시킬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연근무 활용실적 부서평가 반영 등 제도개선 사항을 담은 유연근무 활성화 지침을 전 부서에 시행(‘15.3.23)해 유연근무 환경을 개선한 바 있다. 더불어 부내 유연근무 확산 분위기를 조기에 조성하기 위해, 유연근무 활성화 관련 설문조사(2.26~3.4)에서 직원들 희망수요가 많았던 자율출퇴근제를 시범 실시하는 것이다.

지난 1월 대통령 업무보고(‘15.1.21.)에 따른 정책아이디어 수집·발굴을 위한 국장급 재량근무를 실시하는 등 공직사회에서 유연근무제도를 선도하고 있는 행정자치부는, 본인이 가장 효율적인 근무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출퇴근제가 조직의 활력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인 만큼, 시범실시를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을 보완해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일하는 방식 혁신 사례로 타부처·지자체에도 적극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재영 행정자치부 정책기획관은 “자율출퇴근제는 단순히 근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근무시간에 대한 본인 선택권과 책임감을 부여해 근무시간의 질을 높이는 한편, 조직문화를 유연하게 해 직원들의 창의력을 이끌어내 업무 효율성과 조직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담당 : 창조행정담당관실 장승천 (02-2100-3027)
 
[행정자치부 2015-04-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5 7월 1일부터 어르신, 결핵 환자, 임산부에 대한 의료비 부담이 줄어들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8 85
1894 7월 1일부터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1 8
1893 7월 1일부터 동네병원 2·3인실, 응급실·중환자실 분야, 난임치료시술 등 건강보험 적용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1892 7월 1일부터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4 29
1891 7월 1일부터 1인 사업자 엄마도, 자유 계약자 엄마도 출산 급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49
1890 7월 1일, 틀니 치과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만 70세 이상으로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30 161
1889 7월 1일(월)부터 동네병원 2.3인실 건강보험 적용 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41
1888 7월 17일부터 채용의 공정성을 침해하거나 직무와 관계 없는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못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7 19
1887 7월 15일부터 은행에서 금리상승리스크 완화형주담대를 다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4 17
1886 7월 11일(화)부터 살아있는 닭 유통 제한적 허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42
1885 7만여 건의 정부서비스, 이제 ‘정부24’에서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7 42
1884 7단계 거쳐 산지 → 소비자, 양파값 68%․닭고기값 58%는 ‘상인몫’ (한국경제, 1.21) 보도 관련 해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100
1883 7개 신용카드사 포인트 이용약관상 불공정 약관 조항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9 149
1882 7개 수입자동차 판매사업자의 유지보수서비스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에 대한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2
1881 7개 모바일 게임 판매 사업자의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87
Board Pagination Prev 1 ...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