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직원들이 통상적인 근무시간(9시~18시)에 구애받지 않고 하루 중 업무효율성이 가장 높은 시간대를 본인이 선택해 근무하는 자율출퇴근제를 20일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밝혔다. 자율출퇴근제는 직원들이 자신의 생활패턴에 맞춰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제도로 민간에서는 보편화 돼 있다. 반면 공직사회의 경우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 있기는 하지만 아직 활성화되고 있진 않은 실정이다. 이에 행정자치부는 정종섭 장관 취임 이후 추진하는 ‘일하는 방식 혁신’ 일환으로 대대적인 자율출퇴근 제도를 실행하기로 했다.

행정자치부는 우선 기획조정실 소속 창조행정담당관실, 정보통계담당관실, 국제행정협력담당관실 등 3개 부서를 대상으로 제도를 시행한 뒤, 다른 부서에도 단계적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3개 부서 직원들은 본인 역할 및 담당 업무 등을 감안해 업무 시간을 설정, 출퇴근할 수 있게 된다. 대상 직원들은 ▲하루 4~12시간 ▲주 5일 ▲주당 40시간 근무라는 세가지 요건만 충족하면 06:00~24:00 중에서 자유롭게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조정해 근무할 수 있다.

앞서 행정자치부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양립시킬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연근무 활용실적 부서평가 반영 등 제도개선 사항을 담은 유연근무 활성화 지침을 전 부서에 시행(‘15.3.23)해 유연근무 환경을 개선한 바 있다. 더불어 부내 유연근무 확산 분위기를 조기에 조성하기 위해, 유연근무 활성화 관련 설문조사(2.26~3.4)에서 직원들 희망수요가 많았던 자율출퇴근제를 시범 실시하는 것이다.

지난 1월 대통령 업무보고(‘15.1.21.)에 따른 정책아이디어 수집·발굴을 위한 국장급 재량근무를 실시하는 등 공직사회에서 유연근무제도를 선도하고 있는 행정자치부는, 본인이 가장 효율적인 근무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출퇴근제가 조직의 활력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인 만큼, 시범실시를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을 보완해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일하는 방식 혁신 사례로 타부처·지자체에도 적극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재영 행정자치부 정책기획관은 “자율출퇴근제는 단순히 근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근무시간에 대한 본인 선택권과 책임감을 부여해 근무시간의 질을 높이는 한편, 조직문화를 유연하게 해 직원들의 창의력을 이끌어내 업무 효율성과 조직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담당 : 창조행정담당관실 장승천 (02-2100-3027)
 
[행정자치부 2015-04-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5 7월말 전국 미분양 63,132호, 전월대비 1.7% (1,082호)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18
1924 7월말 전국 미분양 63,127호, 전월대비 5.2% (3,128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69
1923 7월1일부터 소규모 건설공사, 1인 미만 사업장도 산재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50
1922 7월1일부터 방문서비스 종사자 및 화물차주도 산재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0
1921 7월1일부터 국내선 항공기 탈 때도 신분증 꼭 지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4 316
1920 7월 한 달,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 42.9%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5 103
1919 7월 중점관리 대상 재난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1918 7월 주택인·허가 8.3만호로 전년동월대비 85.8%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5 68
1917 7월 주택인·허가 6.1만호, 7월 분양승인은 3.6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30 71
1916 7월 주택 통계(미분양, 매매·전월세거래량 및 건설실적)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31 21
1915 7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14.1만 건, 전월세 거래량은 18.3만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1 12
1914 7월 재산세 납부, 인터넷과 ATM 기기에서 편리하게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3 72
1913 7월 자치경찰제 전면시행 앞두고, 전국 모든 시‧도에서 시범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1 16
1912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 하락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9 100
1911 7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하락세 지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68
Board Pagination Prev 1 ...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