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식약처,‘2014년 의약품 허가보고서’발간 -

□ 최근 국내에서 허가·신고된 의약품 증가세가 뚜렷해 국내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지난해허가·신고된 의약품은 국내·외 신약 49개를 포함하여 총 2,929개였다고 밝혔다.
※ 전체 허가·신고 품목수는 3,107이며, 2,929개는 한약재(원료) 178개를 제외하고 산정
○ 특히 전체 품목수는 2,929개로 ’13년(2,210품목)에 비해 32.5% 증가하여 최근 5년간 가장 많았으며 지속적으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신약의 경우 국내에서 개발한 1개 품목을 포함해 최근 5년간 가장 많이 허가되었다.
※ 허가·신고 품목수: 2,144개(‘10년)→ 1,606개(’11년)→ 1,518개(‘12년)→ 2,210개(’13년)
※ 국내·외 허가 신약수: 49개(‘10년)→ 31개(’11년)→ 17개(‘12년)→ 23개(’13년)
○ 이러한 허가·신고 품목수의 증가세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다양한 의약품 수요를 반영한 제약사의 제품 개발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안전평가원은 지난해 의약품 허가·신고 현황을 담아 ‘2014년 의약품 허가보고서’를 발간하며 주요 내용은 ▲신약 등 일반 현황 ▲약효군별 현황 ▲화학·생물의약품, 한약(생약)제제 등 종류별 현황 ▲원료의약품 등록(DMF) 현황 등이다.

< 신약 등 일반 현황 >
○ 지난해 허가·신고된 2,929개를 제조·수입, 완제·원료, 전문·일반으로 구분해 보면 국내에서 제조는 2709개고 수입은 220품목이었다.
- 완제의약품은 2,816품목(96.2%)이었고 원료의약품 113품목(3.8%)였으며, 완제 중 전문의약품은 2,090품목(67%), 일반의약품 726품목(23%)으로 국내에서 제조하는 완제·전문의약품이 대다수였다.
○ 신약의 경우 49품목 중 화학적으로 합성한 품목이 41개였으며 생물의약품 8품목이었다.
- 정신신경용제 등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것이 16품목으로 가장 많았고 당뇨병 치료제 11품목, 항악성 종양제 7품목 등의 순으로 많았다.
- 수입 품목의 수는 46개로 국내에서 제조·판매 품목수(3개)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 약효군별 허가·신고 현황 >
○ 약효군별로 살펴보면 해열·진통·소염제가 포함된 신경계용이 577개(20.5%), 혈압강하제 등 순환계용이 515개(18.3%), 소화기관계용33개(11.9%), 대사성용 258개(9.2%), 항생제 258개(9.2%) 등의 순이었다.

< 화학·생물의약품, 한약(생약)제제 등 종류별 현황 >
○ 화학적으로 합성된 품목수는 2,821개며 이중 신약이 41품목, 자료제출의약품 132품목, 희귀의약품 20품목, 원료의약품 109품목, 제네릭의약품이 2,519품목이었다.
- 자료제출의약품 중에는 투여경로는 동일하나 기존 제품의 제형을 개량하여 새로운 제형으로 개선한 것이 41품목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제에서 구강붕해정(필름)으로 개선한 것이 8품목이나 되었다.
※ 자료제출의약품: 신약은 아니나 안전성·유효성 심사가 필요한 품목
※ 제네릭의약품: 기존 품목과 유효성분의 종류, 제형, 효능·효과, 용법·용량 등이 동일한 품목
○ 생물의약품은 58품목이 허가·신고되었으며 신약이 8품목, 자료제출의약품 42품목(원료 3개 포함) 및 희귀의약품 8품목이었다.
- 종류별로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이 31품목으로 가장 많았고, 백신 10품목, 인태반유래의약품 3품목, 세포치료제 1품목 등의 순이었다.
○ 한약(생약)제제의 경우 50개 품목(원료 1개포함)이 허가·신고되었으며 이중 24개는 자료제출의약품이었다.
○ 참고로 원료의약품 등록 제도(DMF)를 통해 등록된 성분은 98개 였으며 국내 원료가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인도, 중국, 이탈리아, 일본, 스페인, 아일랜드 등의 순이었다.
※ 원료의약품등록제도(DMF, Drug Mater File) :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원료만을 완제의약품 제조에 사용토록 하는 제도

□ 안전평가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국내 의약품 허가·신고 현황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약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 등 관련 종사자의 의약품 개발 및 정책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 정보자료 → 자료실→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4-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4 2005.9월 이전 생산된 [주]위니아딤채 김치냉장고, 대규모 자발적 리콜 (12/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2 40
553 2000년 이후 심사진료비 4.5배 규모로 성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8 80
552 2000㎡ 이상 업무·근린시설에 남녀분리 화장실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5 60
551 2/4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9 8
550 2.25일부터 가까운 병의원에서 금연치료 받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41
549 2,500여억원을 허위로 지급보증한 유사수신 혐의업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3 54
548 1회용 컵 보증금제, 2022년 6월 시행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2 8
547 1회용 컵 보증금제 적용 대상 구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4 47
546 1차「국민안심병원」에 91개 의료기관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1
545 1주택자 재산세 부담 2020년보다 줄어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39
544 1인세대 사상 처음으로 40% 돌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06 41
543 1인가구 사회관계망 지원 등 보편적 가족서비스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4 64
542 1인가구 다소비 간편식품, 유통업태별로 최대 43.8% 차이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2 54
541 1인가구 고립 방지…가족센터가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2
540 1인가구 간편식 지출액 높고, 건강식품 폭넓게 복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4 28
Board Pagination Prev 1 ...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892 89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