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인체 내 벤조페논‧과불화합물 함량 모니터링 실시 -

□ 식품 포장의 변색방지, 자외선 차단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벤조페논과 종이컵, 프라이팬의 코팅제로 사용되는 과불화합물 인체 노출 수준은 안전한 수준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벤조페논과 과불화합물에 대해 우리나라 국민의 인체 노출수준을 조사한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 이번 조사는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어 인체 노출 빈도가 높고, 내분비계 장애 등이 우려되는 화학물질들에 대해 우리나라 국민의 인체 노출 수준을 파악하고, 위해평가를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벤조페논의 경우 성, 연령을 고려하여 인구 구성비에 따라 2,000명을 대상으로 벤조페논 6종에 대하여 소변 중 함량을 조사하였다.
※ 조사대상 벤조페논 6종: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4-하이드록시 벤조페논
○ 과불화합물의 경우 2011년부터 성인과 청소년 및 어린이 약 777명을 대상으로 혈중 농도와 이들이 자주 먹는 식품약 50종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 조사대상 과불화합물 17종: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과불화옥탄산(PFOA) 등 과불화합물 유도체
※ 조사대상자: ‘11년: 299명 성인, ‘12년: 178명 어린이 및 성인, ‘14년: 300명 중고등학생

□ 벤조페논 조사 결과, 벤조페논 6종의 평균 검출률은 34.6% 수준이었고, 전체 농도의 함량은 9.85 ㎍/ℓ였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 벤조페논-1(검출률: 59.6%), 벤조페논-2(검출률: 2.94%), 벤조페논-3(검출률: 24.7%), 벤조페논-4(검출률: 14.4%), 벤조페논-8(검출률: 11.5%), 4-하이드록시 벤조페논(검출률: 94.6%)의 평균 농도는 각각 1.20, 0.33, 6.19, 1.37, 0.43, 0.33 ㎍/ℓ였다.
○ 벤조페논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벤조페논-3는 조사대상자 4명 중 1명의 비율로 소변에서 검출되고, 소변 중 평균 농도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벤조페논-1과 4-하이드록시 벤조페논은 소변 중 평균 농도는 높지 않으나 검출률이 높은 편으로 이는 이들이 벤조페논-3의 대사체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우리 국민의 벤조페논-3의 노출 수준은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10)인 22.3 ㎍/ℓ와 비교할 때 약 1/4수준이고, 벨기에, 중국과는 비슷한 수준이다.
○ 벤조페논 6종의 총 함량을 통해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인체노출허용량(TDI) 대비 0.7%이하로 나타나 벤조페논 및 대사체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우려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인체노출허용량(TDI, Tolerable Daily Intake): 평생 동안 섭취해도 건강상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양

□ 과불화합물의 경우 혈중에서는 과불화옥탄술폰산(PFOS)과 과불화옥탄산(PFOA) 두 물질이 주로 검출되었으며 제외국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였다.
○ 혈중 PFOS 농도는 연령별로 6-12세(6.58㎍/ℓ), 13~19세(3.57㎍/ℓ), 20대(6.10㎍/ℓ), 30대(7.83㎍/ℓ), 40대(11.5㎍/ℓ), 50대(15.8㎍/ℓ), 60대(21.0㎍/ℓ)였으며, 혈중 PFOA 농도는 연령별로 6-12세(5.15㎍/ℓ), 13~19세(2.82㎍/ℓ), 20대(4.99㎍/ℓ), 30대(6.04㎍/ℓ), 40대(8.23㎍/ℓ), 50대(10.2㎍/ℓ), 60대(11.1㎍/ℓ)로 청소년기 이후 높아졌다.
- 이는 과불화합물이 난분해성 물질로 잔류성이 높아 체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됨을 보여준다.
○ 식품 중 과불화합물 함량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수행한 연구에서 PFOS는 불검출~2.10 ㎍/kg, PFOA는 불검출~3.04 ㎍/kg 수준으로 나타났다.
- 식품모니터링을 통해 과불화합물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인체노출허용량(TDI) 대비 PFOS는 1.67% 이하, PFOA가 0.30% 이내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일상생활을 통해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식품과 인체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그 결과를 신속하게 공개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4-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21 정부 3.0, 국가공간정보 개방, 브이월드“반응 뜨거워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6 93
11620 잃어버린 자전거 찾을 길 열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0 93
11619 `16년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구역 공모 마감…경쟁률 6: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93
11618 불법 계란수집상에 대한 단속을 강화키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3 93
11617 ’16년 1월~’16년 3월 전국 59,881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93
11616 「국제거래 소비자 포털 사이트」서비스 시작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30 93
11615 도라지 넣은 가짜 인삼.홍삼 제품? 이젠 안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3
11614 행자부, 인감 위·변조 방지대책 마련키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1 93
11613 뇌종양, 개인 유전체 분석으로 맞춤형 치료의 장을 열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93
11612 ㈜이폴리움, 유아용 베개 자발적 무상 교환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6 93
11611 패혈증 치료를 위한 표적분자 규명 및 신약물질 발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93
11610 치매치료약 급여기준(재평가간격)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8 93
11609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개선으로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 경감에 크게 기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2 93
11608 금융감독원, 메르스 피해 서민의 금융 지원을 위해 업계와 공동으로 '서민금융 종합지원센터' 설치-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93
11607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93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