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4년도 식품 중 이물 발생 신고 및 조사결과 -

□ 식품 이물 신고가 정부의 이물 혼입방지 매뉴얼 보급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이물 관리 정보 공유 등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2014년 식품 이물 발생 내역을 분석한 결과 2013년에 비해 신고 건수는 소폭 줄어들었으며, 2011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이물발견 신고건수(건): ’11년 7,419→’12년 6,540→’13년 6,435→’14년 6,419
○ 이는 이물 저감화를 위한 식품업체 이물보고 의무화(‘10) 이후 식약처와 지자체의 원인조사, 제조현장에서의 이물최소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업계의 이물혼입 재발방지를 위한 공정 개선 노력 등의 결과로 판단된다.
- 식약처는 업계에 과자류, 면류 등 이물 혼입방지 매뉴얼을 보급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에 이물 관리 정보를 공유하는 ‘이물관리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등 그간 제조현장에서 이물 혼입을 감소하기 위한 지원을 하였다.
- 실제로 2014년 ‘이물관리 네트워크’에 참여한 업체의 경우 제조단계에서 이물 혼입 비율이 비참여업체에 비해 약 8.4% 낮았다.

□ 지난해 신고된 이물은 벌레, 곰팡이, 금속 등의 순이었으며, 이물 발생률이 높은 식품은 면류, 과자류, 커피, 빵‧떡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물 종류별 분석 현황〉
○ 이물의 종류로는 벌레(2,327건, 36.3%) > 곰팡이(667건, 10.4%) > 금속(433건, 6.7%) > 플라스틱(316건, 4.9%) > 유리(101건, 1.6%) 순이었다.
○ 벌레 이물 신고는 7~11월(60.3%)에 집중하여 발생되었으며, 원인조사 결과 소비·유통단계(233건, 10%)에서 혼입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가 제조단계(96건, 4.1%)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식품 보관 및 취급 과정 중 부주의로 인해 대부분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곰팡이 이물 신고는 7∼10월(48.9%)에 집중하여 발생되었으며, 원인조사 결과 소비·유통 단계(222건, 33.3%)가 제조단계(86건, 12.9%)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유통 중 주로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하거나, 냉장보관 식품을 실온에서 보관하는 등 식품을 부적절한 방법으로 보관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속, 플라스틱은 소비·유통단계보다 제조단계에서 혼입된 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제조시설 또는 부속품의 일부가 떨어지거나 제조과정 중 식품용기 등의 파편이 식품에 혼입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속: 제조단계(35건, 8.1%), 소비·유통 단계(15건, 3.3%)
플라스틱: 제조단계(40건, 12.7%), 소비·유통단계(15건, 4.7%)
○ 유리는 소비·유통단계(9건, 8.9%)가 제조단계(6건, 5.9%)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유통 중 취급부주의로 인해 파손된 용기의 파편이 혼입된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 종류별 분석 현황〉
○ 식품 종류별 이물 발생률은 면류(910건, 14.2%) > 과자류(735건, 11.5%) > 커피(723건, 11.3%) > 빵·떡류(506건, 7.9%) > 음료류(493건, 7.7%) 순으로 나타났다.
- 특히 식품 종류별로 가장 많이 발생한 이물은 면류, 과자류, 커피는 벌레였으며 음료류 및 빵‧떡류는 곰팡이였다.
○ 면류, 커피, 음료류에서 발생된 이물은 소비·유통 단계가 제조단계보다 많았으며, 과자류, 빵‧떡류에서 발생된 이물은 제조단계가 소비·유통 단계보다 많았다.
- 면류, 커피, 음료류는 주로 유통 중 포장 손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이나 벌레 유입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과자류, 빵‧떡류의 제조단계 혼입 원인은 주로 제조과정 중 위생관리 소홀로 인해 머리카락, 끈 등이 혼입되거나 건조처리 미흡 및 포장지 밀봉 불량 등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으로 판단된다.
※ 면류: 소비·유통 단계(79건, 8.7%), 제조단계(19건, 2.1%)
커피: 소비·유통 단계(43건, 5.9%), 제조단계(2건, 0.3%)
음료류: 소비·유통 단계(127건, 25.8%), 제조단계(20건, 4.1%)
과자류: 제조단계(119건, 16.2%), 소비·유통 단계(55건, 7.5%)
빵‧떡류: 제조단계(114건, 22.5%), 소비·유통단계(32건, 6.3%)

〈이물 혼입 방지 식품 보관 요령〉
○ 이물 신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벌레나 곰팡이 이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포장상태를 꼼꼼히 살핀 후 구매하여야 한다.
○ 또한 주로 비닐류로 포장되는 식품인 면류, 과자, 커피, 시리얼 등은 화랑곡나방(쌀벌레) 애벌레가 제품의 포장지를 뚫고 침입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냉장·냉동실 등에 저온 보관하여야 한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업체간 ‘이물관리 네트워크’ 운영을 활성화하고, 이물혼입 방지를 위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업체의 이물 저감화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4-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9 철도역사, 화재로부터 더 안전하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69
508 누구나, 무료로, 공항에서 안전체험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82
507 치아보험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105
506 휴대전화 부정가입(대포폰) 방지를 위한 운전면허증 진위확인서비스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360
505 권익위, 직업훈련 중 입은 상해 치료 기간도 출석 인정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6 106
504 설명자료(SBS 8시뉴스 '목숨이 달렸는데...장사 안되는 희귀병약 품귀'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7
503 김승희 식약처장, 물휴지와 화장품 제조업체 현장 방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6
502 유통기한 경과 원료로 제조한‘소스류’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107
501 2014년 한방진료비 2조4,005억원, 연평균 7.7%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75
500 지방세외수입 고액·상습체납자 원천봉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1
499 「한국토지주택공사법」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67
498 BMW, TOYOTA 다카타 에어백 관련 리콜 재통지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65
497 누구나, 무료로, 공항에서 안전체험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93
496 중고차 성능점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 다른 경우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314
495 보험사기 척결 특별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74
Board Pagination Prev 1 ... 887 888 889 890 891 892 893 894 895 89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