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4년도 식품 중 이물 발생 신고 및 조사결과 -

□ 식품 이물 신고가 정부의 이물 혼입방지 매뉴얼 보급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이물 관리 정보 공유 등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2014년 식품 이물 발생 내역을 분석한 결과 2013년에 비해 신고 건수는 소폭 줄어들었으며, 2011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이물발견 신고건수(건): ’11년 7,419→’12년 6,540→’13년 6,435→’14년 6,419
○ 이는 이물 저감화를 위한 식품업체 이물보고 의무화(‘10) 이후 식약처와 지자체의 원인조사, 제조현장에서의 이물최소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업계의 이물혼입 재발방지를 위한 공정 개선 노력 등의 결과로 판단된다.
- 식약처는 업계에 과자류, 면류 등 이물 혼입방지 매뉴얼을 보급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에 이물 관리 정보를 공유하는 ‘이물관리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등 그간 제조현장에서 이물 혼입을 감소하기 위한 지원을 하였다.
- 실제로 2014년 ‘이물관리 네트워크’에 참여한 업체의 경우 제조단계에서 이물 혼입 비율이 비참여업체에 비해 약 8.4% 낮았다.

□ 지난해 신고된 이물은 벌레, 곰팡이, 금속 등의 순이었으며, 이물 발생률이 높은 식품은 면류, 과자류, 커피, 빵‧떡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물 종류별 분석 현황〉
○ 이물의 종류로는 벌레(2,327건, 36.3%) > 곰팡이(667건, 10.4%) > 금속(433건, 6.7%) > 플라스틱(316건, 4.9%) > 유리(101건, 1.6%) 순이었다.
○ 벌레 이물 신고는 7~11월(60.3%)에 집중하여 발생되었으며, 원인조사 결과 소비·유통단계(233건, 10%)에서 혼입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가 제조단계(96건, 4.1%)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식품 보관 및 취급 과정 중 부주의로 인해 대부분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곰팡이 이물 신고는 7∼10월(48.9%)에 집중하여 발생되었으며, 원인조사 결과 소비·유통 단계(222건, 33.3%)가 제조단계(86건, 12.9%)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유통 중 주로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발생하거나, 냉장보관 식품을 실온에서 보관하는 등 식품을 부적절한 방법으로 보관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속, 플라스틱은 소비·유통단계보다 제조단계에서 혼입된 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제조시설 또는 부속품의 일부가 떨어지거나 제조과정 중 식품용기 등의 파편이 식품에 혼입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속: 제조단계(35건, 8.1%), 소비·유통 단계(15건, 3.3%)
플라스틱: 제조단계(40건, 12.7%), 소비·유통단계(15건, 4.7%)
○ 유리는 소비·유통단계(9건, 8.9%)가 제조단계(6건, 5.9%)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유통 중 취급부주의로 인해 파손된 용기의 파편이 혼입된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 종류별 분석 현황〉
○ 식품 종류별 이물 발생률은 면류(910건, 14.2%) > 과자류(735건, 11.5%) > 커피(723건, 11.3%) > 빵·떡류(506건, 7.9%) > 음료류(493건, 7.7%) 순으로 나타났다.
- 특히 식품 종류별로 가장 많이 발생한 이물은 면류, 과자류, 커피는 벌레였으며 음료류 및 빵‧떡류는 곰팡이였다.
○ 면류, 커피, 음료류에서 발생된 이물은 소비·유통 단계가 제조단계보다 많았으며, 과자류, 빵‧떡류에서 발생된 이물은 제조단계가 소비·유통 단계보다 많았다.
- 면류, 커피, 음료류는 주로 유통 중 포장 손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이나 벌레 유입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과자류, 빵‧떡류의 제조단계 혼입 원인은 주로 제조과정 중 위생관리 소홀로 인해 머리카락, 끈 등이 혼입되거나 건조처리 미흡 및 포장지 밀봉 불량 등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으로 판단된다.
※ 면류: 소비·유통 단계(79건, 8.7%), 제조단계(19건, 2.1%)
커피: 소비·유통 단계(43건, 5.9%), 제조단계(2건, 0.3%)
음료류: 소비·유통 단계(127건, 25.8%), 제조단계(20건, 4.1%)
과자류: 제조단계(119건, 16.2%), 소비·유통 단계(55건, 7.5%)
빵‧떡류: 제조단계(114건, 22.5%), 소비·유통단계(32건, 6.3%)

〈이물 혼입 방지 식품 보관 요령〉
○ 이물 신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벌레나 곰팡이 이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포장상태를 꼼꼼히 살핀 후 구매하여야 한다.
○ 또한 주로 비닐류로 포장되는 식품인 면류, 과자, 커피, 시리얼 등은 화랑곡나방(쌀벌레) 애벌레가 제품의 포장지를 뚫고 침입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냉장·냉동실 등에 저온 보관하여야 한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업체간 ‘이물관리 네트워크’ 운영을 활성화하고, 이물혼입 방지를 위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업체의 이물 저감화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4-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70 미승인 로고 사용한 찰흙 업체 제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9 80
3169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전년대비 3.1% 상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30 80
3168 핀테크 시대, 더욱 간편해진 전자금융업 등록절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4 80
3167 금감원-경찰청 '금융사기 근절' 협력 성과 및 향후 대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7 80
3166 메르스 극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10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80
3165 ㈜에이모노 알루미늄 액자 자발적 환급 또는 무상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9 80
3164 잔류물질 검출 브라질산 닭고기 회수 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80
3163 ㈜에스케이상사와 ㈜오르, 유아용 물통 자발적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80
3162 영유아보육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9 80
3161 저소득층 범죄피해(가구) 유·청소년에게 스포츠 강좌 이용권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80
3160 올 6월말 현재, 자동차등록대수 2천 55만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80
3159 이색 체험하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80
3158 ‘에취! 알레르기성 비염’…봄보다 가을에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80
3157 모기업이 자회사를 실질적으로 운영했다면 자회사 근로자 퇴직금도 지급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9 80
3156 추석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0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