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신(新) 거래유형 '큐레이션 커머스' 이용자 10명 중 7명 계속 이용 원해

- 제품 정보제공 및 일부 신선식품 포장 보완 필요 -

이 자료는 4월 3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4월 2일 12시)

전문가가 제품을 선별해서 추천하는 방식의 ‘큐레이션 커머스*’가 새로운 쇼핑 트렌드로 떠오르며 식품, 패션, 꽃, 애견용품 등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이에 대한 제품 판매 실태 및 이용경험을 조사한 결과, 구성품에 대한 정보제공이 미흡하고 일부 신선식품의 경우 포장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큐레이션 커머스 : 미술관의 큐레이터가 예술작품을 엄선하여 대중에게 선보이듯 경제성과 실용성이 높은 제품을 전문가의 눈으로 엄선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유통방식을 의미. ‘(정기)구독’을 의미하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서비스 또는 일회성?이벤트성의 ‘럭키백’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림.

□ ‘큐레이션 커머스’ 쇼핑몰은 약 56개, ‘식품/간식’이 가장 많아

2014. 12월말 기준 영업중인 ‘큐레이션 커머스’ 쇼핑몰은 약 56개로, 판매 품목별로 보면 과일·간식·야채·농수산물 등 ‘식품/간식’이 12개(21.4%)로 가장 많고, 다양한 품목을 판매하는 ‘종합쇼핑몰’이 9개(16.1%), ‘패션/리빙’ 7개(12.5%), ‘임신/출산/육아/웨딩’ 관련 6개(10.7%)로 나타났다. 

□ 광고와 배달 제품은 일치, 일부 제품은 포장불량으로 손상

큐레이션 커머스 품목 중 소비자 이용이 많은 ‘리빙 및 아이디어 상품’, ‘화장품’, ‘임신/출산용품’, ‘패션’, ‘식품’, ‘커피’, ‘꽃’ 등 총 12개 업체의 7개 품목 12개 상품에 대해 주문부터 배송까지의 과정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제품 선정에 참여한 전문가의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명시한 업체는 8개(66.7%)기존 구입 소비자들의 상품평 페이지를 운영하는 업체 9개(75.0%)‘에스크로 서비스(결제대금 예치)’를 제공하는 업체는 11개(91.7%)였다.

광고와 실제 배송된 제품 간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과일의 경우 포장이 허술하여 일부 깨지고 내용물에 대한 취급주의 표시가 없어 상한 경우도 있었다.

사진 

□ 불만·피해 경험 소비자도 22.1%, 계속 이용 의사는 65.7%,

‘큐레이션 커머스’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 700명에게 불만이나 피해 경험을 질문한 결과, 22.1%(155명)가 ‘불만·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불만?피해내용을 보면 ‘각 구성품의 기본정보(유통기한 등) 부족‘이 41.9%(65명), ’제품의 품질 불만‘ 29.7%(46명), ’배송지연 및 분실‘ 27.7%(43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큐레이션 커머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인지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인 65.7%(460명)가 ‘계속 이용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소비자 의견을 바탕으로 ‘큐레이션 커머스’ 시장의 소비자 지향적 정착을 위해 관련 업계에 ▲독특하고 다양한 상품 제공 ▲상품의 품질 제고 ▲정확한 상품정보 제공 등을 권고하고 향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4-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60 구급차 신고필증을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87
4159 구글 NPAPI 지원중단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2 78
4158 구강위생에 사용하는 의약외품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9 51
4157 구강위생에 사용하는 의약외품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1 25
4156 구강보건을 위한 의약외품,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6
4155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대중교통 이용 27%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3 30
4154 교통약자도 케이블카·모노레일 이용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3 16
4153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을 지역간 차별없이 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1 28
4152 교통약자 증가에 따라 이동지원 정책 필요성 더욱 커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8 16
4151 교통약자 이동편의를 위한 여객선, 버스정류장, 터미널시설 개선 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2 54
4150 교통약자 비행기 탑승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9 79
4149 교통약자 배려, 국립공원 무장애 탐방 기반시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0 47
4148 교통안전체험교육 받은 후 사고 약 56.8% 줄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3 339
4147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불법행위 집중단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12
4146 교통안전법 ·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4 77
Board Pagination Prev 1 ...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