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비) ‘14양곡연도 총 곡물 소비량은 20,090천 톤으로 전년 대비 2.4%(19,627천 톤) 증가하였다.
- 가정, 학교, 식당 등에서의 밥쌀, 밀가루 소비 등 식량용 소비량은 4,808천 톤으로 전년 대비 약 1%(51천 톤) 감소한 반면,
- 가공식품 및 육류 소비 증가* 등 식생활 변화로 가공용 소비량은 4,319천 톤으로 전년 대비 1.7%(72천 톤), 사료용 소비량은 10,381천 톤으로 전년 대비 3.9%(394천 톤) 증가하였고,
* 1인당 육류 소비량(kg) : (‘00) 31.9 → ('05) 32.1→ (’10) 38.8 → (‘14p) 44.0
- 이에 따라 사료용 소비를 포함하지 않는 식량자급률 상승폭(2.2%p)이 곡물자급률 상승폭(0.7%p)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2. 답리작 활성화 등 자급률 제고대책 지속 추진

농식품부는 ‘14년 자급률이 이전보다 높아졌으나 여전히 목표치에는 미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하여, 금년에도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 ‘15년 식량자급률 목표치 : 57%, 곡물자급률 목표치 : 30%
소비가 뒷받침되지 않는 생산 확대는 수급 불안 및 농가 소득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생산기반 확충 및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소비 촉진을 병행하는 것이 기본방향이며,
자급률이 낮아 생산 확대 여력이 많은 밭 식량작물 위주로 자급률 제고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밭 식량ㆍ사료작물) 보리, 밀, 콩 등 식량작물과 조사료 등은 주산지 중심 공동경영체 육성, 밭농업 기계화, 답리작 활성화, 농식품 기업과 연계한 신수요 창출 등을 통해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미 ‘15년부터 이모작직불금을 인상(40만원/ha → 50만원)했고, 이모작에 대해 단기 임대차를 허용하도록 농지법을 개정하였으며(’15.1월), 국산 콩 두부를 중소기업 적합업종 적용대상에서 제외(‘15.2월)하였다.
- 금년 초에는 봄 파종도 적극 추진하여 약 5천ha를 추가 파종하였으며, 농식품부는 현재 답리작 활성화 세부 추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T/F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다.
* T/F 구성 : 농식품부, 농촌진흥청, 한국농어촌공사, 자급률제고사업단
농식품부는 이러한 노력을 기반으로 금년에 보다 구체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제도 개선, 연구개발(RD), 소비 촉진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답리작 활성화를 위해 들녘경영체와 연계한 맥류시범단지 육성(14개소), 맥류 건조·저장시설 지원 등을 통한 품질 관리 강화, 답리작 실시 들녘경영체에 답리작 관련 시설ㆍ장비 지원, 답리작 작부체계별 생산매뉴얼 보급, 가공적성이 개선된 밀과 맥주용 보리 품종 개발, 국산 밀 제품을 판매하는 생협(icoop 등), 기업(SPC 등)과 계약재배 확대 등을 추진하고,
- 콩은 유통종합처리장(SPC)* 설치를 확대하여 품질을 제고하고, 국산 콩 가공식품기업과의 연계, 음식점 원산지 표시대상 지정 등을 통해 수요를 확대하며,
* 콩 유통종합처리장 : (‘14) 2개소 → ('15) 3개소 → (’24) 12개소
- 조사료는 조사료 전문단지 지정 확대(18천ha→23), 조사료 품질평가제 도입* 등을 통해 사료용 곡물 수요를 대체한다.
* 조사료 품질평가제 : ‘15년 시범사업 → ’16년 본사업
(쌀) 자급률이 높은 쌀은 수급안정을 중심으로 추진하되, 규모화 된 들녘경영체 중심으로 품질을 제고하고 생산비를 절감하며, 특히, 쌀 가공산업 육성, 쌀 소비촉진 홍보, 수출 확대 등을 통해 소비 감소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들녘경영체(평균 경영면적 200ha)에 대해서는 금년부터 시설ㆍ장비 지원을 확대하고, 진입요건도 완화했으며, 들녘경영체 운영법인의 쌀 직불금 지급 면적 상한도 확대(50ha → 400)했다.
1인 가구 및 맞벌이 부부 증가에 따른 소비패턴 변화를 반영한 쌀 가공식품 개발 등 쌀 소비 활성화 사업(‘14: 40억 원 → ’15: 60억 원)을 확대 추진하고,
쌀 및 쌀 가공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상품개발, 물류, 마케팅, 원료확보 등에 있어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이미 금년 2월, 쌀 수출기업을 위한 쌀 수출 핸드북을 발간했고, 대호간척지에 200ha의 수출용 벼 재배단지 조성(’15)을 위해 관계 기관 MOU를 맺고 본격 사업에 들어갔으며, 3월에는 양곡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쌀 수출추천제도 폐지한 바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금년에는 특히 답리작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계획으로 답리작 면적을 20% 이상 확대할 경우 6~7천억 원의 농가소득 증가도 기대된다”고 하며,
“농업인, 농식품기업, 소비자, 관계 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자급률 제고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안전한 농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본연의 역할에 보다 충실한 한 해로 만들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03-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75 6월부터 경부선 평일 버스전용차로 양재~오산에서 안성까지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3
13774 경매차익을 활용해 전세사기 피해자의 보증금 피해를 최대한 회복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2
13773 잠자는 퇴직연금 확인하고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2
13772 4월 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 상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5
13771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채권추심 민원사례 및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3
13770 지방에서도 발리, 자카르타, 울란바토르 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4
13769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하이패스 없이도 고속도로 통행료 무정차 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3
13768 학생건강검진, 학생·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5
13767 우리 아이 힘들게 하는 수족구병 유행 시기, 올바른 손씻기 등 위생 수칙으로 건강하게 보내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7
13766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사망, 어패류 익혀먹기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4
13765 걱정 없는 여름‧겨울나기, 2024년도 에너지바우처 5월 29일부터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4
13764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수술비, 진단비 등 상해,질병보험 관련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4
13763 현대·기아·르노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3
13762 복잡한 재개발・재건축 양도소득세, 실수로 비과세 혜택 놓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1
13761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