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4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결과 발표 -

□ 우리나라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 수준이 지난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수준을 객관적으로 확인·평가하기 위해 ‘14년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의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67.54점으로 ‘13년(특·광역시 자치구)에 비해 3.85점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228개 지자체) : 특·광역시의 자치구(69개), 자치시(77개), 군단위(82개)
○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과 더불어 학교주변 어린이 식품안전 관리가 강화되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설치가 늘어나는 등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전체적으로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는「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노력과 그 수준을 평가하여 수치화한 지표로 ▲식생활 안전(40점) ▲식생활 영양(40점) ▲식생활 인지·실천(20점) 등 3개 분야의 20개 항목(총점 100점)으로 평가된다.
- 특히 식생활 인지·실천 분야는 각 지역별 초등학생(5학년, 42,9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다.
○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는 ‘12년 국가통계 승인을 받았고, ‘14년 처음으로 전국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앞으로 3년 주기로 실시하게 된다.
- 그 동안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는 연도별 대도시(‘10년, ’13년), 중소도시(‘11년), 농어촌(‘12년)으로 조사·평가 되었다.

□ 조사된 식생활 안전지수를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그룹으로 나누어 보면 대도시는 67.65점, 중소도시는 67.87점, 농어촌이 67.34점으로 중소도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대도시에서는 서울 송파구가 78.95로 가장 높았고, 서울 양천구(57.09점)가 가장 낮았다.
- 서울 송파구는 전국 단위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가장 노력하는 지방자치단체로 평가되었다.
○ 중소도시의 경우 강원 태백시가 75.77로 가장 높았고, 경기 김포시(57.41점)가 가장 낮았다.
○ 농어촌의 경우 강원 철원군이 77.41로 가장 높았고, 인천 옹진군(55.53점)이 가장 낮게 낮았다.
○ 식생활 안전지수가 우수한 지역은 지난 3년간 학교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았고, 영양교육 및 홍보 등 어린이 식생활 환경 개선을 위하여 식생활 안전분야와 식생활 영양분야에 노력한 결과 높은 득점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식약처는 어린이 급식시설에서 식중독이 발생하였거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치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는 공통적으로 낮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를 보이고 있어, 식중독 예방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등 어린이 식생활 안전 확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하였다.
○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 조사는 조사결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로 제작되어 배포될 예정이며, 우수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된 8개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는 4월중 포상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 서울 송파구, 인천 동구, 강원 태백시, 강원 강릉시, 전북 김제시, 강원 철원군, 전남 무안군, 경북 성주군
○ 자세한 2014년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 조사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 알림 > 공지·공고란에 게시되며, 추후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www.kosis.kr)을 통해서도 공개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3-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60 휴대전화로 무인민원발급기 위치와 발급정보를 알기 쉽게 쏙쏙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119
4759 결핵 예방을 위한 경피용 BCG 백신 임시예방접종 오늘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41
4758 8m 이상 떨어진 아파트도 공동관리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33
4757 이웃과의 건축 분쟁, 사례 통해 쉽게 해결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40
4756 고용행정 통계로 본 ‘17.9월 노동시장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38
4755 분양광고 시 건축물의 내진 능력 공개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42
4754 국민권익위, 장애인 행정서비스 확대·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31
4753 도로터널·쓰레기배출정보 전국 어디서나 쉽게 활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49
4752 중앙ㆍ지방 모든 입법예고 통합입법예고센터에서 한 번에 조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37
4751 「치핵」질환 남자는 60~70대, 여자는 20~30대가 많이 걸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119
4750 농관원, 추석명절 농식품 원산지위반 547개소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40
4749 서울 강서구(강서지구), 성동구(중랑천), 경기 화성(황구지천), 안성(안성천) 야생조류 분변 검사 결과 H5형 AI 항원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72
4748 (주)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의 불공정하도급거래행위에 대한 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3 116
4747 "음식 부실하다' 배달앱에 후기 썼더니 음식점 주인이 욕하고 협박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3 104
4746 대한민국, 서태평양 지역 국가 최초로 풍진퇴치 인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3 67
Board Pagination Prev 1 ...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