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 2월 생필품 평균 판매가격, 1월 대비 0.9% 상승

- 농축산물과 가공식품은 소폭 상승, 일반 공산품은 하락 -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생필품 가격정보 종합포털인 '참가격'(www.price.go.kr)을 통해 수집한 판매가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금년 2월 주요 생필품 평균 판매가격이 전월 대비 0.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전월과 대비하여 농축산물(102.1)과 가공식품(100.2)의 평균 판매가격은 소폭 상승반면, 일반 공산품(99.5)의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

3

전월 대비 평균 판매가격이 상승한 품목 쌈장(8.5%), 양파(8.0%), 즉석우동(7.1%), 과일주스(7.0%), 생리대(6.0%) 등이었고, 하락한 품목부침가루(-10.2%), 혼합조미료(-7.7%), 당면(-5.3%), 버터(-5.0%), 세탁세제(-3.7%)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별 평균 판매가격 상승률은 CJ라이온의 주방세제 'CJ참그린'(15.6%)이 가장 높았고, 가격 하락률은 LG생활건강의 세탁세제 ‘테크(단품)’(-24.0%)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한편 금년 2월 한달 간 제품별 최고·최저 판매가격 차이를 살펴본 결과, 동일한 제품이라도 업태(백화점·대형마트·SSM·편의점·전통시장)에 따라 최대 5.5배차이가 있었다. LG생활건강의 ‘테크 (단품)’가 5.5배로 가장 차이가 컸고, 이어 동서식품 ‘맥스웰 하우스 오리지날(175ml)’ (5.0배), 유니레버 코리아 ‘도브 뷰티바’ (3.8배)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매월 생필품 가격동향을 분석하여 판매가격의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동일한 제품이라도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난 만큼 생필품을 구매하기 전 가격정보 포털사이트인 ‘참가격’ (www.price.go.kr) 판매가격을 비교하고 구매할 것을 소비자들에게 당부했다.

5

 

 

 

[한국소비자원 2015-03-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14 헬스장의 장기계약 유도, 중도해지 관련 소비자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1 55
13513 헬스장·휘트니스센터, 계약해지 관련 소비자피해가 91.6%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8 36
13512 헬스장·독서실 등 아파트 주민공동시설, 인근 단지 주민도 이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3 99
13511 헬스장·독서실 등 아파트 주민공동시설, 인근 단지 주민도 이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4 133
13510 헬스장, 계약해지 어렵고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8 154
13509 헬스사이클, 전 제품이 칼로리 소모량 표시가 부정확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5 54
13508 헤나 염모제 피해발생 관련 정부 합동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7 15
13507 헌혈은 자신과 남을 위해 값진 일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5
13506 헌혈, 해외여행 후 1개월간은 피해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5
13505 헌재의 주민등록법 헌법불합치 결정 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4 104
13504 허위·과장 온라인 부동산 광고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5 20
13503 허위·과장 온라인 부동산 광고 모니터링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01 18
13502 허위·과장 온라인 부동산 광고 1,172건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2 14
13501 허위·과장 부동산 매물, 더 이상 발붙일 수 없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7 84
13500 허위·과다입원 가짜환자 근절 나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31 51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