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배터리 충전 가장 많이 이용

- 추가비용·제한 조건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개선 필요 -

이 자료는 3월 23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3월 22일 12시)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이하 ‘긴급출동서비스’)는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다급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에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12개 자동차보험사가 제공하는 긴급출동서비스를 조사했다.

* 긴급출동서비스 : 특약으로 가입해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견인, 비상급유 등 서비스를 말함. 주로 자동차보험사와 계약한 출동대행업체가 서비스를 수행함.

【조 사 개 요】

(조사대상 소비자) ‘14.11.21~27 기준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가입 중인 소비자 1,000명

(조사대상 사업자) 더케이손보, 동부화재, 롯데손보,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하이카, 한화손보, 현대해상, 흥국화재, AXA손보, LIG손보, MG손보

(조사내용·방법) 조사내용 : 서비스이용 현황, 추가비용 및 차량손상 발생 실태 등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설문

배터리충전 서비스 가장 많이 활용

12개 보험사의 일반형 긴급출동서비스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충전, 긴급견인, 비상급유, 타이어규체, 잠금장치 해체, 긴급구난 등 6종의 서비스를 모든 보험사가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즈 교환, 부동액 보충, 타이어펑크 수리 서비스 등은 보험사마다 제공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종류는 배터리 충전으로 나타났다. 29.8%로 가장 높은 이용빈도를 보였고, 다음은 긴급견인(22.1%), 타이어펑크 수리(14.2%) 순이었다. 배터리충전 및 긴급견인과 달리, 타이어펑크 수리는 일부 보험사만 제공하는 서비스 임에도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 긴급출동서비스 종류별 이용빈도>

구분

배터리충전

긴급견인

타이어펑크 수리

비상급유

타이어

교체

잠금장치 해제

기타

빈도

29.8%

22.1%

14.2%

11.3%

11.1%

6.8

4.7

출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국 평균 27분이었다. 도서·산간·해안지역의 경우 출동시간은 41분으로 가장 느렸지만 만족도(3.84점)는 가장 높았다. 반면, 고속도로는 37분으로 더 신속했지만 만족도(3.31점)는 가장 낮아 대조를 보였다.

< 출동장소별 도착시간 및 신속도착에 대한 만족도>

출동장소

내용

도서·산간·해안

거주지 근처

국도·지방도

시내

고속도로

평균

도착 소요시간

41분

22분

33분

28분

37분

27분

신속도착에 대한 만족도

3.84점

3.60점

3.46점

3.45점

3.31점

3.52점

긴급출동서비스에 가입하는 이유는 ‘차량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가 34.6%로 가장 많아 ’안전‘을 주요 이유로 뽑았고, ’차량 제조사 긴급출동서비스에 비해 서비스 질이 우수해서’라는 답변도 15.1%에 달해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비용·제한조건 많아

긴급출동서비스는 위급한 상황에 꼭 필요한 서비스이지만 일부 문제점도 확인됐다. 12개 보험사가 제공하는 긴급출동서비스 25종 가운데 16개의 서비스는 추가비용이 필요하거나 이용제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예> 긴급출동서비스의 추가비용·제한조건

◇ 긴급견인서비스

10km 초과 시 초과 1km당 2,000원 비용 발생

◇ 비상급유서비스

보험기간 중 2회, 1일 1회 한정

◇ 긴급구난서비스

외제차량 및 2500cc이상 차량은 추가비용 부담

◇ 타이어펑크수리서비스

펑크 1개당 서비스 1회 차감 또는 1개 부위 한해 수리

설문조사 결과, 긴급출동서비스 가입을 위해 평균 29,263원특약보험료로 지불하지만, 서비스 이용 중 추가비용을 낸 경우가 23.4%(1천 명 중 234명)에 달했으며, 추가 지불금액은 평균 32,833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추가비용 지불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42.3%(234명 중 100명)는 추가비용이 발생하는지 몰랐다고 답해 추가비용·제한조건 정보를 소비자가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의 내용을 무상제공과 서비스제한·추가비용부담으로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업계에 방안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3-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10 자본금 미충족 상조업체들에 대한 조치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1 14
10609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온라인 신청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2 8
10608 자립준비청년 자립수당 8월부터 30만원 → 35만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8 7
10607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자립준비청년이 일정 기간 다시 보호될 수 있도록 세부 규정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9 7
10606 자동차종합제공서비스(자동차365)가 보다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0 38
10605 자동차정비, 수리불량·부당 수리비 청구 등 소비자불만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0 360
10604 자동차정기검사 시 자동차등록증 제출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9
10603 자동차용 타이어 안전성조사 결과, 2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0
10602 자동차용 선팅필름, 제품별로 태양열 차단 성능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2 11
10601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과 민원, 한 번에 해결…‘자동차36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29
10600 자동차야영장의 화재, 차량사고 등 안전사고 예방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1
10599 자동차압류 해제, 포털에서 한 번에 해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0 163
10598 자동차세, 재산세 등 지방세 챗봇으로 24시간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3 327
10597 자동차세 등 상습 체납차량 일제 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29
10596 자동차세 과세기준 개편 착수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0 13
Board Pagination Prev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