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배터리 충전 가장 많이 이용

- 추가비용·제한 조건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개선 필요 -

이 자료는 3월 23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3월 22일 12시)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이하 ‘긴급출동서비스’)는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다급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에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12개 자동차보험사가 제공하는 긴급출동서비스를 조사했다.

* 긴급출동서비스 : 특약으로 가입해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견인, 비상급유 등 서비스를 말함. 주로 자동차보험사와 계약한 출동대행업체가 서비스를 수행함.

【조 사 개 요】

(조사대상 소비자) ‘14.11.21~27 기준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가입 중인 소비자 1,000명

(조사대상 사업자) 더케이손보, 동부화재, 롯데손보,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하이카, 한화손보, 현대해상, 흥국화재, AXA손보, LIG손보, MG손보

(조사내용·방법) 조사내용 : 서비스이용 현황, 추가비용 및 차량손상 발생 실태 등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설문

배터리충전 서비스 가장 많이 활용

12개 보험사의 일반형 긴급출동서비스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충전, 긴급견인, 비상급유, 타이어규체, 잠금장치 해체, 긴급구난 등 6종의 서비스를 모든 보험사가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즈 교환, 부동액 보충, 타이어펑크 수리 서비스 등은 보험사마다 제공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종류는 배터리 충전으로 나타났다. 29.8%로 가장 높은 이용빈도를 보였고, 다음은 긴급견인(22.1%), 타이어펑크 수리(14.2%) 순이었다. 배터리충전 및 긴급견인과 달리, 타이어펑크 수리는 일부 보험사만 제공하는 서비스 임에도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 긴급출동서비스 종류별 이용빈도>

구분

배터리충전

긴급견인

타이어펑크 수리

비상급유

타이어

교체

잠금장치 해제

기타

빈도

29.8%

22.1%

14.2%

11.3%

11.1%

6.8

4.7

출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국 평균 27분이었다. 도서·산간·해안지역의 경우 출동시간은 41분으로 가장 느렸지만 만족도(3.84점)는 가장 높았다. 반면, 고속도로는 37분으로 더 신속했지만 만족도(3.31점)는 가장 낮아 대조를 보였다.

< 출동장소별 도착시간 및 신속도착에 대한 만족도>

출동장소

내용

도서·산간·해안

거주지 근처

국도·지방도

시내

고속도로

평균

도착 소요시간

41분

22분

33분

28분

37분

27분

신속도착에 대한 만족도

3.84점

3.60점

3.46점

3.45점

3.31점

3.52점

긴급출동서비스에 가입하는 이유는 ‘차량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가 34.6%로 가장 많아 ’안전‘을 주요 이유로 뽑았고, ’차량 제조사 긴급출동서비스에 비해 서비스 질이 우수해서’라는 답변도 15.1%에 달해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비용·제한조건 많아

긴급출동서비스는 위급한 상황에 꼭 필요한 서비스이지만 일부 문제점도 확인됐다. 12개 보험사가 제공하는 긴급출동서비스 25종 가운데 16개의 서비스는 추가비용이 필요하거나 이용제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예> 긴급출동서비스의 추가비용·제한조건

◇ 긴급견인서비스

10km 초과 시 초과 1km당 2,000원 비용 발생

◇ 비상급유서비스

보험기간 중 2회, 1일 1회 한정

◇ 긴급구난서비스

외제차량 및 2500cc이상 차량은 추가비용 부담

◇ 타이어펑크수리서비스

펑크 1개당 서비스 1회 차감 또는 1개 부위 한해 수리

설문조사 결과, 긴급출동서비스 가입을 위해 평균 29,263원특약보험료로 지불하지만, 서비스 이용 중 추가비용을 낸 경우가 23.4%(1천 명 중 234명)에 달했으며, 추가 지불금액은 평균 32,833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추가비용 지불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42.3%(234명 중 100명)는 추가비용이 발생하는지 몰랐다고 답해 추가비용·제한조건 정보를 소비자가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의 내용을 무상제공과 서비스제한·추가비용부담으로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업계에 방안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3-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살모넬라 균 오염 가능성 있는 해바라기 씨 판매중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12
403 초·중·고 학생들 인플루엔자감염 주의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69
402 구급차 신고필증을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87
401 올 여름 바뀌는 항공편, 확인하고 타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78
400 산모로부터 B형 간염 수직 감염된 14세 환자, 간암으로 사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26
399 금융분쟁 사례를 통해 본 부동산 거래시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30
398 행복기금 안심전환대출 빙자 대출사기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48
397 이상 작동하는 ㈜코웨이 음식물처리기 부품 무상 교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143
396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수준 전반적으로 향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80
395 식품의 질병 예방.치료 효과 표방은 허위.과대광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69
394 식중독균 검출‘즉석섭취식품’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79
393 잔류농약(이프로디온) 기준초과 검출 수입‘마늘쫑’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78
392 진드기가 옮기는 감염병 이렇게 예방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69
391 2014년 병원 많이 찾은 이유?...디스크.기관지염 환자 늘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123
390 스팀다리미, 제품별 주요 성능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176
Board Pagination Prev 1 ... 894 895 896 897 898 899 900 901 902 90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