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배터리 충전 가장 많이 이용

- 추가비용·제한 조건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개선 필요 -

이 자료는 3월 23일(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3월 22일 12시)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이하 ‘긴급출동서비스’)는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다급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에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12개 자동차보험사가 제공하는 긴급출동서비스를 조사했다.

* 긴급출동서비스 : 특약으로 가입해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견인, 비상급유 등 서비스를 말함. 주로 자동차보험사와 계약한 출동대행업체가 서비스를 수행함.

【조 사 개 요】

(조사대상 소비자) ‘14.11.21~27 기준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가입 중인 소비자 1,000명

(조사대상 사업자) 더케이손보, 동부화재, 롯데손보,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하이카, 한화손보, 현대해상, 흥국화재, AXA손보, LIG손보, MG손보

(조사내용·방법) 조사내용 : 서비스이용 현황, 추가비용 및 차량손상 발생 실태 등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설문

배터리충전 서비스 가장 많이 활용

12개 보험사의 일반형 긴급출동서비스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충전, 긴급견인, 비상급유, 타이어규체, 잠금장치 해체, 긴급구난 등 6종의 서비스를 모든 보험사가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즈 교환, 부동액 보충, 타이어펑크 수리 서비스 등은 보험사마다 제공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종류는 배터리 충전으로 나타났다. 29.8%로 가장 높은 이용빈도를 보였고, 다음은 긴급견인(22.1%), 타이어펑크 수리(14.2%) 순이었다. 배터리충전 및 긴급견인과 달리, 타이어펑크 수리는 일부 보험사만 제공하는 서비스 임에도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 긴급출동서비스 종류별 이용빈도>

구분

배터리충전

긴급견인

타이어펑크 수리

비상급유

타이어

교체

잠금장치 해제

기타

빈도

29.8%

22.1%

14.2%

11.3%

11.1%

6.8

4.7

출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국 평균 27분이었다. 도서·산간·해안지역의 경우 출동시간은 41분으로 가장 느렸지만 만족도(3.84점)는 가장 높았다. 반면, 고속도로는 37분으로 더 신속했지만 만족도(3.31점)는 가장 낮아 대조를 보였다.

< 출동장소별 도착시간 및 신속도착에 대한 만족도>

출동장소

내용

도서·산간·해안

거주지 근처

국도·지방도

시내

고속도로

평균

도착 소요시간

41분

22분

33분

28분

37분

27분

신속도착에 대한 만족도

3.84점

3.60점

3.46점

3.45점

3.31점

3.52점

긴급출동서비스에 가입하는 이유는 ‘차량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가 34.6%로 가장 많아 ’안전‘을 주요 이유로 뽑았고, ’차량 제조사 긴급출동서비스에 비해 서비스 질이 우수해서’라는 답변도 15.1%에 달해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비용·제한조건 많아

긴급출동서비스는 위급한 상황에 꼭 필요한 서비스이지만 일부 문제점도 확인됐다. 12개 보험사가 제공하는 긴급출동서비스 25종 가운데 16개의 서비스는 추가비용이 필요하거나 이용제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예> 긴급출동서비스의 추가비용·제한조건

◇ 긴급견인서비스

10km 초과 시 초과 1km당 2,000원 비용 발생

◇ 비상급유서비스

보험기간 중 2회, 1일 1회 한정

◇ 긴급구난서비스

외제차량 및 2500cc이상 차량은 추가비용 부담

◇ 타이어펑크수리서비스

펑크 1개당 서비스 1회 차감 또는 1개 부위 한해 수리

설문조사 결과, 긴급출동서비스 가입을 위해 평균 29,263원특약보험료로 지불하지만, 서비스 이용 중 추가비용을 낸 경우가 23.4%(1천 명 중 234명)에 달했으며, 추가 지불금액은 평균 32,833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추가비용 지불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42.3%(234명 중 100명)는 추가비용이 발생하는지 몰랐다고 답해 추가비용·제한조건 정보를 소비자가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의 내용을 무상제공과 서비스제한·추가비용부담으로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업계에 방안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3-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5 자동차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9 103
» 자동차보험 긴급출동서비스, 배터리 충전 가장 많이 이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3 458
3243 자동차보험 만족도, ‘보상처리’ 높고, ‘가격·부가혜택’은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5 41
3242 자동차보험 보장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하여 자동차 보험 공동인수 제도가 전면 개선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58
3241 자동차보험 사기 상시조사 결과 특성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9 77
3240 자동차보험 시세하락손해 및 경미사고 보상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1 56
3239 자동차보험 정비요금, 자율 결정의 발판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114
3238 자동차보험 제도개선을 통해 국민의 보험료 부담을 낮추는 한편, 생활속 보장을 강화하여 국민 권익보호도 확대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01 52
3237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가 보다 강화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6 14
3236 자동차보험 취업가능연한 및 시세하락손해 등 보상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30 16
3235 자동차보험 특약으로 운전가능자를 제한할 경우의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3 155
3234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23.1.1.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6 31
3233 자동차보험 한의과 진료비 합리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6
3232 자동차부품 업종 3개사의 불공정하도급거래행위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8 79
3231 자동차사 인증 불법행위 사후제제 강화…대기법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29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