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중 유통 이유식 제품 관리 강화 필요

- 30개 중 12개 제품 관리기준이 느슨한 일반식품으로 유통 -

이 자료는 3월 20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3월 19일 12시)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므로 이유식의 경우 기준이 엄격한 특수용도식품*으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영·유아가 섭취하는 이유식 상당수가 규격 안전기준이 상대적으로 느슨한 일반식품으로 유통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수용도식품 : 영·유아, 노약자, 임산부 등의 취약 계층을 위해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함. 이유식에는 ‘성장기용 조제식’, ‘영·유아용 곡류조제식’, ‘기타 영·유아식’ 등이 포함됨.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시중에 유통 중인 이유식 30개 제품을 대상으로 식품유형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이 18개(60%), 일반식품이 12개(40%)였다.

< 시중 유통 이유식의 식품유형 >

 

 

특수용도식품(18개, 60%)

일반식품(12개, 40%)

성장기용

조제식

영·유아용

곡류조제식

기타 영·유아식

즉석

조리식품

즉석

섭취식품

곡류가공품

이유식

(30)

3

1

14

10

1

1

일반식품 12개 제품은 영·유아가 섭취하는 이유식임에도「즉석조리식품」,「즉석섭취식품」등으로 분류되어 각각 다른 위생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이들 일반식품의 위생기준을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기준과 비교해보면 일반세균·대장균군·바실러스 세레우스·엔테로박터 사카자키에 대한 제한기준이 아예 없거나 상대적으로 느슨하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조사대상 30개 이유식을 대상으로 미생물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일반식품인 12개 이유식 전 제품은 해당 식품유형의 규격기준에는 적합하지만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규격기준을 적용하면 이 중 3개 제품이 일반세균·대장균군 기준을 초과해 위생상태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3개 중 1개 제품은 식중독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도 970cfu/g이 검출되어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규격기준(100cfu/g 이하)을 초과하였다.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이유식 18개 중에는 1개 제품〔퀴노아 시금치 브로콜리 무른죽(아이베)〕에서만 대장균군이 검출돼 현행 기준을 위반하였다.

이렇게 영·유아가 섭취하는 동일한 형태의 이유식이라도 제조업체가 품목 신고 시 어떤 식품유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관리기준이 다르다보니 실제 위생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이유식이 반드시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으로 신고·관리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영·유아 이유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일반식품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관리를 강화하고 ▲향후 이유식 제품은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으로만 신고·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행 규격기준에 부적합한 1개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사업자에게 품질 개선 등의 조치를 요청한 상태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3-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0 신혼부부 대상 주택구입·전세자금 대출 소득요건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05 7
409 보이스피싱, 이제 ‘112’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7 7
408 직영주차장 무료이용 등 추석연휴 국립공원 이용 지원 대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6 7
407 ‘소규모 주택(원룸·오피스텔) 관리비’ 세부내역 표시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1 7
406 납부할 국세를 전화로 간편하게 확인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8 7
405 최근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중소서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7
404 자연재난 의연금, 인명피해 지급상한액 2배 상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5 7
403 무인카페.판매점 등 위생.안전관리 집중 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0 7
402 장기요양기관 CCTV 설치 의무화로 어르신에 더욱 안전한 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9 7
401 310만 가구에 2022년 귀속 근로·자녀장려금 정기신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2 7
400 기아·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0 7
399 비실명 대리신고 신고결과...자문변호사단 통해 이의신청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7
398 ’23년 1분기 전국 지가 0.05% 하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5 7
397 운전자보험, 잘 알고 가입하세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4 7
396 2022년 4분기 및 연간(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7
Board Pagination Prev 1 ... 894 895 896 897 898 899 900 901 902 90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