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중 유통 이유식 제품 관리 강화 필요

- 30개 중 12개 제품 관리기준이 느슨한 일반식품으로 유통 -

이 자료는 3월 20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3월 19일 12시)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므로 이유식의 경우 기준이 엄격한 특수용도식품*으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영·유아가 섭취하는 이유식 상당수가 규격 안전기준이 상대적으로 느슨한 일반식품으로 유통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수용도식품 : 영·유아, 노약자, 임산부 등의 취약 계층을 위해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함. 이유식에는 ‘성장기용 조제식’, ‘영·유아용 곡류조제식’, ‘기타 영·유아식’ 등이 포함됨.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시중에 유통 중인 이유식 30개 제품을 대상으로 식품유형을 분석한 결과,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이 18개(60%), 일반식품이 12개(40%)였다.

< 시중 유통 이유식의 식품유형 >

 

 

특수용도식품(18개, 60%)

일반식품(12개, 40%)

성장기용

조제식

영·유아용

곡류조제식

기타 영·유아식

즉석

조리식품

즉석

섭취식품

곡류가공품

이유식

(30)

3

1

14

10

1

1

일반식품 12개 제품은 영·유아가 섭취하는 이유식임에도「즉석조리식품」,「즉석섭취식품」등으로 분류되어 각각 다른 위생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이들 일반식품의 위생기준을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기준과 비교해보면 일반세균·대장균군·바실러스 세레우스·엔테로박터 사카자키에 대한 제한기준이 아예 없거나 상대적으로 느슨하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조사대상 30개 이유식을 대상으로 미생물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일반식품인 12개 이유식 전 제품은 해당 식품유형의 규격기준에는 적합하지만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규격기준을 적용하면 이 중 3개 제품이 일반세균·대장균군 기준을 초과해 위생상태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3개 중 1개 제품은 식중독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도 970cfu/g이 검출되어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규격기준(100cfu/g 이하)을 초과하였다.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 이유식 18개 중에는 1개 제품〔퀴노아 시금치 브로콜리 무른죽(아이베)〕에서만 대장균군이 검출돼 현행 기준을 위반하였다.

이렇게 영·유아가 섭취하는 동일한 형태의 이유식이라도 제조업체가 품목 신고 시 어떤 식품유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관리기준이 다르다보니 실제 위생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이유식이 반드시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으로 신고·관리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영·유아 이유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일반식품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관리를 강화하고 ▲향후 이유식 제품은 영·유아용 특수용도식품으로만 신고·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행 규격기준에 부적합한 1개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사업자에게 품질 개선 등의 조치를 요청한 상태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3-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60 28일부터 승용·화물·특수차도 캠핑카로 제작·튜닝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5
8359 현대, 벤츠, BMW, 아우디, 한불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12,463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3
8358 빈집을 활용한 자율주택정비사업으로 동네가 새롭게 태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21
8357 '19년 12월 결산법인은 3월말까지 법인세 신고·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64
8356 2019년 기준 가맹현황 분석 자료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5
8355 즉석갈비탕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3
8354 1차「국민안심병원」에 91개 의료기관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1
8353 긴급수급 조정조치 후 첫 생산된 마스크 공급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36
8352 납세자보호관, 지방세 고충민원 해결사로 정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9
8351 배달앱, 사업자정보 부족하고 취소 절차 안내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2
8350 무신고 수입산 포장지를 사용한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2
8349 취업준비 단계부터 취업 후 근로환경까지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20
8348 터널 안 교통사고, 최근 5년간 3,218건, 인명피해 7,472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8
8347 2019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별 주요고용지표 집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7
8346 마스크 수출제한 및 공적판매처로 출하 의무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24
Board Pagination Prev 1 ...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