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집 근처에서 보다 편리하게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사례 1) 아이 예방접종을 하고 집에 돌아오는 지하철 안에서 시간제보육 광고를 보게 되었다. 집에 돌아와 아이사랑보육포털에서 제공기관을 검색해 보니 우리 집 바로 앞에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이용할 수가 있었다.

그렇게 처음 이용하게 된 시간제보육 서비스는 이제 아이를 위한, 나를 위한 우리 집 맞춤 보육서비스가 되어 종종 이용하고 있다. 아이도 선생님, 친구들과 노는 것이 즐거운지 집을 나서기만 하면 시간제보육반에 가자고 한다.

또한 시간제보육 덕분에 일에 대한 열망을 실현시킬 수 있는 청년창업가에 선발되어 열심히 창업에 대한 틀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나는 나에게 큰 도움을 주었던 "시간제보육 시범사업"이 전국적으로 더 확대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꿈을 주길 바란다.

(사례 2) 36개월이 되기 전까지는 집에서 아이를 키우겠다고 다짐했지만 첫 돌이 지나 걷고 뛰기 시작한 아이를 하루 종일 감당하기란 쉽지가 않았다. 또한 둘째까지 임신한 상태였기 때문에 몸이 많이 지쳐 있었고 늘 짜증과 화를 내며 아이를 대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집 근처에서 시간제보육을 시행한다는 이야기가 생각나 몇 달간 직접 내 아이를 맡겨본 바, 시간제보육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에게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임이 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아직은 시범사업으로써 ○○ 지역에 두 곳 밖에 운영되는 곳이 없다는 사실이 매우 안타깝지만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많은 어린이집으로 시간제보육이 확대, 시행되면 좋겠다. 나아가 시간제보육 사업이 전국적으로 더욱 활성화되어 아이를 키우는 우리나라 엄마들이 휴식으로 재충전하고 이로 인해 각 가정에서 더욱 질 좋은 양육이 이루어지는 날이 오길 기대해본다.

’ 14년 시간제보육 이용수기 중

가정에서 아이들을 양육하는 부모들이 집 근처에서 보다 편리하게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간제보육 서비스 제공 기관이 243개소로 대폭 확대* 될 예정이다.

* 시간제보육서비스 제공기관 확대ㆍ운영, 시간당 보육료 지원 등에 소요되는 예산은 기 편성(’ 15년 75억원, 국비 기준)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시간제보육 서비스 제공기관 확대를 위하여 각 지자체별 신규 운영 개소수를 각 지자체에 안내했다고 19일 밝혔다.

* 지자체별 운영 희망 개소수 접수(’ 15.2.16.∼3.11.) → 사업계획서 검토 및 조정 → 배정 결과 통보(3.19.)

따라서 금번에 신규 지정ㆍ운영될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위치한 지역의 부모들은 빠르면 4월부터*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에서는 시간제보육반 전담 보육교사 채용, 별도 보육실 환경 조성 등 운영 준비 진행

참고로 [시간제보육 서비스]란

부모*가 시간선택제로 근무하거나 긴급한 병원 이용 등으로 단시간 동안만 아이를 맡겨야 할 상황인 경우,

* 종일제 어린이집, 유치원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양육 수당을 받는 가구

지정 어린이집 등에서 필요한 시간만큼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이용한 시간만큼 보육료를 지불하는 서비스로,

가정양육 가구의 보육지원을 위해 ’ 14년도부터 시범사업으로 시작하였으며, ’ 15년 3월 현재 100개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시간제보육서비스 제공기관 현황(기관명, 연락처, 위치)은 [아이사랑보육포탈(www.childcare.go.kr) 메인 화면 → 육아정보 → 시간제보육기관 찾기]를 통해 찾아볼 수 있음

<시간제보육 서비스 개요>

<시간제보육 서비스 개요>
구분 기본형 맞벌이형*
지원 연령 6개월 이상 36개월 미만의 영아
이용 대상자 양육수당을 받는 가정양육 가구 양육수당을 받는 가구 중 시간제근로자 등 맞벌이 가구, 한부모 가구, 기타 양육부담 가구 등
이용시간 및 지원단가 월 40시간
4천원/시간 중 2천원 본인부담 (정부지원50%+본인부담50%)
월 80시간
4천원/시간 중 1천원 본인부담 (정부지원75%+본인부담25%)

* 맞벌이형 대상 : 근로자ㆍ자영업자 등 맞벌이 가족 및 한부모 가족, 학교재학ㆍ취업준비ㆍ장기입원 등 기타 양육부담 가정(각 대상별 증빙서류 구비 필요)

한편, 보건복지부는 시간제보육 서비스 제공기관 확대와 함께 시간제보육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보다 많은 부모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홍보 캠페인 개최, 육아 카페 홍보 강화, 이용수기 공모전 개최 등 다양한 방안을 활용하여 홍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 시간제보육 서비스 정보 습득 경로: 인터넷(30.8%), 홍보물*(25.3%), 이웃(25.1%) 순(’ 14년, 육아정책연구소)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15년도 시간제보육 사업 추진 방향은 부모님들이 더 가까운 곳에서 쉽고 편리하게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면서

"앞으로도 부모의 다양한 보육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보육정책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03-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1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4 19
1980 질병관리본부, 국내 발생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9
1979 질병관리본부, 봄철 야외활동시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주의당부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8
1978 질병관리본부, 비브리오패혈증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5 59
1977 질병관리본부, 손.팔 장기이식 법 시행에 맞춰 등록기준 등의 세부운영지침을 마련해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49
1976 질병관리본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분리성공 유전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13
1975 질병관리본부, 안전 수칙 준수로 안전한 예방접종 지속 실시 요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2 35
1974 질병관리본부, 의협과 함께 일선의료기관에 감염병 정보 공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8 43
1973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80
1972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5 85
1971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8 138
1970 질병관리본부, 잠복결핵감염검사 시약(PPD) 10월 초 40만명 분량 확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103
1969 질병관리본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가동!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51
1968 질병관리본부와 친구 맺고 건강도 챙기세요~! 질병예방 위한 카톡 이모티콘 3탄~‘쭈~욱 건강하라능’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3 18
1967 질병관리본부와 친구가 되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1 56
Board Pagination Prev 1 ...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