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과다한 위약금 주의!

- 계약 시 환급기준·위약금 등 꼼꼼히 확인해야 -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이용하다 계약을 해지할 때 사업자가 과다한 위약금을 요구하거나, 가입 시 약속한 환급보장을 이행하지 않는 사례가 많아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일정한 대가를 받고 주식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휴대전화·방송·인터넷 등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금융위원회에 유사투자자문업 신고만으로 영업 가능(‘16.8.3 현재 1,090개 업체 신고)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지난해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이용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201으로 전년도에 비해 43.6% 증가했으며, 올 상반기에도 91이 접수되었다. 피해유형별로는 계약 해지 관련 피해가 가장 많았다.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 : (’14) 140(’15) 201(’16년 상반기) 91

계약해지 관련 피해 77.8%

20151월부터 20166월까지 접수된 292을 분석한 결과, 위약금 과다 공제나 계약해지 거절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77.8%(227)로 가장 많았고, 그 외 계약불이행 20.2%(59)를 차지했다.

1

계약해지 관련 피해는 해지 시 사업자가 위약금을 과다하게 공제하는 사례(67.8%)가 가장 많았다. 소비자분쟁해결기준보다 위약금을 과다하게 공제하거나 이용기간에 대한 이용료를 사업자가 임의로 정한 1일 이용요금 기준으로 산정하여 공제하거나 CD나 동영상 등 교육자료 비용을 과다하게 공제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 외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해지를 거절하거나 환급금 지급을 지연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계약불이행 피해는 일정수익률 미달 시 입회금을 반환하기로 약정(환급보장)한 후 실제 수익률이 미달했음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중단한 경우가 많았다.

휴대전화(문자메시지 또는 SNS)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가장 많아

주식투자정보서비스는 휴대전화(문자메시지 또는 SNS)로 제공되는 경우가 58.1% (139)로 가장 많았으며, 계약기간은 6개월 이하가 58.9%(139)로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사업자와 간담회를 통해 소비자피해 현황을 공유하고, 위약금 과다공제 피해 방지를 위해 노력해 줄 것과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준수할 것 등을 권고하였으며, 앞으로도 사업자의 행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련 소비자피해가 근절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에게는 피해 예방을 위해 수익률에 현혹되어 충동적으로 계약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계약 전에 환급기준, 위약금 등 거래조건꼼꼼히 확인하며 투자기법 동영상, CD 등 교육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중도해지 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얼마인지 확인하고 서비스 중단 등 계약불이행에 대비하여 계약기간은 되도록 짧게, 결제는 신용카드 할부로 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6-08-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15 DNP함유식이보충제 해외 직구 경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104
12114 비엠더블유, 좌석안전띠 및 연료펌프 결함으로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1 104
12113 140개 유사수신 혐의업체, 수사기관 통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3 104
12112 “달빛 어린이병원” 6개소 신규 지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104
12111 2014년 심사 진료비 총 62조원, 전년대비 9.1%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5 104
12110 '금감원 콜센터 1332'가 금융회사 업무관행을 개선합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5 104
12109 주택도시기금법 시행령 · 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104
12108 수술 환자의 권리보호 및 안전관리 대폭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04
12107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판결 동향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3 103
12106 "3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및 "방문돌봄종사자등 한시지원금" 사업 시행 공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4 103
12105 화재 대피통로에 폐기물 방치...“소방점검 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9 103
12104 환자가 직접 의료서비스평가에 참여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4 103
12103 패스트푸드점에서도 알레르기 유발 식품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6 103
12102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103
12101 LED 스탠드, 광 성능·수명성능 등 품질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7 103
Board Pagination Prev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