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기혈관 숫자 알기”로 고혈압·당뇨병 예방 시작!
질병관리본부, 9월 첫 주 전국 지자체와 함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캠페인 추진


■ 건강관리 취약계층 3040 직장인 대상 “자기혈관 숫자 알기” 집중 홍보
■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써클 캠페인” 200여개 지자체 참여 전국 단위 합동 캠페인 진행
■ 6대 도시(서울, 대전, 대구, 부산, 인천, 광주) 레드서클존(건강 체험 부스) 운영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 첫 주, 9.1-9.7)」을 맞아 국민들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과 관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자 레드서클 합동 캠페인(캠페인 슬로건: “자기혈관 숫자 알기”*)을 진행한다. (‣붙임1)

* 레드써클(Red Circle)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건강 캠페인의 심벌로 건강한 혈관을 상징
* “자기혈관 숫자 알기”는 2014년-2016년 레드서클 캠페인의 슬로건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의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를 알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뜻함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 첫 주 9.1-9.7)은 국민들에게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방법을 알리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계기 마련을 위하여 2014년에 지정되었으며, 예방관리주간 동안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와 함께하는 합동 캠페인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 금년 합동 캠페인은 전국 200여개 지자체(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의 참여로 진행되며,

○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하지만 건강관리에는 가장 취약한 3040 직장인을 대상으로 혈압‧혈당 측정 가능 장소인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이 운영된다. (‣붙임1-2)

*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이란 혈압‧혈당 수치 측정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방법 등을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소(건강부스)를 지칭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 동안 누구나 6대 도시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 또는 전국의 가까운 보건소에 방문하면 자신의 혈관 건강상태를 체크해 보고,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 방법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 6대 도시: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 국내에서는 성인 4명(30세 이상) 중 1명이 고혈압이며,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관리실태(인지율, 약물치료율, 조절률)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등은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으로,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가능 하므로 관리 필요성이 크다.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 만30세이상, 2005-2014>

구 분

’05

’07

’08

’09

‘10

‘11

‘12

‘13

‘14

고혈압

28.0

24.6

26.3

26.4

26.9

28.5

29.0

27.3

25.5

당뇨병

9.1

9.6

9.7

9.6

9.7

9.8

9.0

11.0

10.2

고콜레스테롤혈증

8.0

10.7

10.9

11.5

13.5

13.8

14.5

14.9

14.6

비만

34.8

34.6

32.9

34.0

33.9

34.2

35.4

34.6

32.9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고혈압: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약물을 복용한 분율
* 당뇨병: 공복혈당이 126mg/dL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고 있는 분율
* 고콜레스테롤혈증: 8시간이상 공복자 중 총콜레스테롤이 240㎎/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강하제를 복용한 분율
* 비만: 체질량지수(kg/m2) 25 이상인 분율

□ 심뇌혈관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규칙적인 치료 및 관리 등으로 예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40대의 질환 관리가 가장 저조한 실정이다.

○ 고혈압 인지율을 살펴보면, 30대 고혈압 질환자 10명 중 8명, 40대 고혈압 질환자 10명 중 6명이 현재 자신이 고혈압 질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 당뇨병의 경우도 30대, 40대 당뇨병 질환자 10명 중 5명이 자신이 당뇨병 질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 또한, 30대 고콜레스테롤혈증 질환자 10명 중 8명, 40대 10명 중 7명이 미인지 상태이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만30세 이상, 2010-2014>

지표명

구분

전체

남자

여자

고혈압 인지율

전체(30세 이상)

65.9

57.1

75.6

연령별

30-39

19.3

16.9

32.9

40-49

41.6

36.6

52.8

당뇨병 인지율

전체(30세 이상)

71.9

68.4

76.4

연령별

30-39

47.1

42.4

54.7

40-49

50.7

47.5

56.4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전체(30세 이상)

51.6

48.2

54.3

연령별

30-39

17.7

20.2

12.1

40-49

34.8

36.5

32.5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고혈압 인지율: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 당뇨병 인지율: 당뇨병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분율
*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을 받은 분율

□ 특히, 타 연령 대비 30-40대 성인 남성의 건강생활 실천률(금연, 절주, 낮은 나트륨 섭취 등)이 가장 저조하다.

○ 현재 흡연율의 경우 30대 남성이 53.2%, 40대 남성은 54.4%, 고위험음주율의 경우 30대 남성이 26.2%, 40대 남성이 26.0%로 가장 높으며, 혈압을 높이는 주요 요인인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역시 30-40대 남성이 92.9%로 높다.

지표명

구분

전체

남자

여자

현재 흡연율

전체(19세 이상)

24.2

43.1

5.7

연령별

30-39

30.0

53.2

7.0

40-49

29.2

54.4

5.0

고위험 음주율

전체(19세 이상)

13.5

20.7

6.6

연령별

30-39

17.6

26.2

9.1

40-49

16.4

26.0

7.1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전체(9세 이상)

80.1

88.0

72.1

연령별

30-49

85.6

92.9

78.0


<건강생활 실천 현황(흡연, 음주, 나트륨 과잉 섭취)>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2014)
* 현재 흡연율: 평생 담배 5갑(100개비) 이상 피웠고, 현재 매일 또는 가끔 담배를 피우는 분율
* 고위험 음주율: 1회 평균음주량이 7잔(여자5잔) 이상이며 주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나트륨 과잉섭취(나트륨 목표섭취량 2,000mg 이상)자의 분율

□ 질병관리본부는 국민들에게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6-08-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58 “세 살 올바른 식습관 여든까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8
1957 젖소를 육우로 허위표시 하여 판매한 무허가 축산물가공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3 98
1956 장애인 다빈도 질환 살펴보니 근골격계 질환, 고혈압, 당뇨 등 발생율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5 98
1955 쏘울 차량 스티어링 피니언 플러그 풀림 리콜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4 98
1954 북한산 건조 능이버섯 방사능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98
1953 철도 승강장 발빠짐 사고 ’17년까지 50% 저감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6 98
1952 이행강제금 감경 부과하고, 건축허가서류 간소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8
1951 갑상선기능저하증, 40~50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8 98
1950 가정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30 98
1949 자동차 결함 정보 수집 기능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1 98
1948 신속검사 강화로 ‘안심 농수산물’ 유통기반 다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5 98
1947 어린이 책가방 비교정보 생산 결과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8
1946 봄 개학맞이 학교매점 및 학교 주변 조리·판매업소 위생 점검 사전 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98
1945 유리조각 혼입‘가시오가피주’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8
1944 QEI+Paris 바디용 로션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8
Board Pagination Prev 1 ...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