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기혈관 숫자 알기”로 고혈압·당뇨병 예방 시작!
질병관리본부, 9월 첫 주 전국 지자체와 함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캠페인 추진


■ 건강관리 취약계층 3040 직장인 대상 “자기혈관 숫자 알기” 집중 홍보
■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써클 캠페인” 200여개 지자체 참여 전국 단위 합동 캠페인 진행
■ 6대 도시(서울, 대전, 대구, 부산, 인천, 광주) 레드서클존(건강 체험 부스) 운영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 첫 주, 9.1-9.7)」을 맞아 국민들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과 관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자 레드서클 합동 캠페인(캠페인 슬로건: “자기혈관 숫자 알기”*)을 진행한다. (‣붙임1)

* 레드써클(Red Circle)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건강 캠페인의 심벌로 건강한 혈관을 상징
* “자기혈관 숫자 알기”는 2014년-2016년 레드서클 캠페인의 슬로건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의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를 알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뜻함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 첫 주 9.1-9.7)은 국민들에게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방법을 알리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계기 마련을 위하여 2014년에 지정되었으며, 예방관리주간 동안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와 함께하는 합동 캠페인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 금년 합동 캠페인은 전국 200여개 지자체(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의 참여로 진행되며,

○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하지만 건강관리에는 가장 취약한 3040 직장인을 대상으로 혈압‧혈당 측정 가능 장소인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이 운영된다. (‣붙임1-2)

*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이란 혈압‧혈당 수치 측정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방법 등을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소(건강부스)를 지칭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 동안 누구나 6대 도시 레드서클존(Red Circle Zone) 또는 전국의 가까운 보건소에 방문하면 자신의 혈관 건강상태를 체크해 보고,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 방법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 6대 도시: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 국내에서는 성인 4명(30세 이상) 중 1명이 고혈압이며,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관리실태(인지율, 약물치료율, 조절률)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등은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으로,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가능 하므로 관리 필요성이 크다.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 만30세이상, 2005-2014>

구 분

’05

’07

’08

’09

‘10

‘11

‘12

‘13

‘14

고혈압

28.0

24.6

26.3

26.4

26.9

28.5

29.0

27.3

25.5

당뇨병

9.1

9.6

9.7

9.6

9.7

9.8

9.0

11.0

10.2

고콜레스테롤혈증

8.0

10.7

10.9

11.5

13.5

13.8

14.5

14.9

14.6

비만

34.8

34.6

32.9

34.0

33.9

34.2

35.4

34.6

32.9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고혈압: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약물을 복용한 분율
* 당뇨병: 공복혈당이 126mg/dL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고 있는 분율
* 고콜레스테롤혈증: 8시간이상 공복자 중 총콜레스테롤이 240㎎/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강하제를 복용한 분율
* 비만: 체질량지수(kg/m2) 25 이상인 분율

□ 심뇌혈관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규칙적인 치료 및 관리 등으로 예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40대의 질환 관리가 가장 저조한 실정이다.

○ 고혈압 인지율을 살펴보면, 30대 고혈압 질환자 10명 중 8명, 40대 고혈압 질환자 10명 중 6명이 현재 자신이 고혈압 질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 당뇨병의 경우도 30대, 40대 당뇨병 질환자 10명 중 5명이 자신이 당뇨병 질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 또한, 30대 고콜레스테롤혈증 질환자 10명 중 8명, 40대 10명 중 7명이 미인지 상태이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만30세 이상, 2010-2014>

지표명

구분

전체

남자

여자

고혈압 인지율

전체(30세 이상)

65.9

57.1

75.6

연령별

30-39

19.3

16.9

32.9

40-49

41.6

36.6

52.8

당뇨병 인지율

전체(30세 이상)

71.9

68.4

76.4

연령별

30-39

47.1

42.4

54.7

40-49

50.7

47.5

56.4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전체(30세 이상)

51.6

48.2

54.3

연령별

30-39

17.7

20.2

12.1

40-49

34.8

36.5

32.5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 고혈압 인지율: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 당뇨병 인지율: 당뇨병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분율
*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을 받은 분율

□ 특히, 타 연령 대비 30-40대 성인 남성의 건강생활 실천률(금연, 절주, 낮은 나트륨 섭취 등)이 가장 저조하다.

○ 현재 흡연율의 경우 30대 남성이 53.2%, 40대 남성은 54.4%, 고위험음주율의 경우 30대 남성이 26.2%, 40대 남성이 26.0%로 가장 높으며, 혈압을 높이는 주요 요인인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역시 30-40대 남성이 92.9%로 높다.

지표명

구분

전체

남자

여자

현재 흡연율

전체(19세 이상)

24.2

43.1

5.7

연령별

30-39

30.0

53.2

7.0

40-49

29.2

54.4

5.0

고위험 음주율

전체(19세 이상)

13.5

20.7

6.6

연령별

30-39

17.6

26.2

9.1

40-49

16.4

26.0

7.1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전체(9세 이상)

80.1

88.0

72.1

연령별

30-49

85.6

92.9

78.0


<건강생활 실천 현황(흡연, 음주, 나트륨 과잉 섭취)>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2014)
* 현재 흡연율: 평생 담배 5갑(100개비) 이상 피웠고, 현재 매일 또는 가끔 담배를 피우는 분율
* 고위험 음주율: 1회 평균음주량이 7잔(여자5잔) 이상이며 주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나트륨 과잉섭취(나트륨 목표섭취량 2,000mg 이상)자의 분율

□ 질병관리본부는 국민들에게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6-08-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2 주요 위생 안전 조항 위반 HACCP업체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8 75
2321 주요 정보시스템 일제 점검 및 특별 관제 활동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1 76
2320 주유하면서, 고속도로 미납 통행료 납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5 9
231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3 43
2318 주정차 금지구역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32
2317 주정차 단속 구역 사전알림 신청, 한번에 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9
2316 주정차위반과태료 등 세외수입 24시간 채팅로봇으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06 10
2315 주차 공간 넓어져 “문 콕” 줄어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55
2314 주차된 차량 미끄러짐 사고 미리 막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4 11
2313 주차장 안전강화를 위한「주차장법 시행규칙」개정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17
2312 주차장법 개정안, 학생 안전을 위하여 수정하기로 합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9 11
2311 주최자 없는 지역축제에 대해서도 지자체장이 안전관리 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5
2310 주키니 호박 반품,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9 82
2309 주택 리모델링 소비자피해, 부실시공과 계약불이행이 절반 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3 12
2308 주택 인테리어·리모델링 업체 선정에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1 118
Board Pagination Prev 1 ...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