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권익위, 보험금 지급 조사 관련 위임장 사용안내 의무화 권고
과도한 개인정보수집 방지 및 수집정보 관리 강화 방안 마련
< 제도개선 주요내용 >
 
 
 
[보험금 지급사유 조사 시 위임장 사용안내 및 위임장 표준양식 마련]
보험금 지급사유 조사 관련 위임장 사용 사전 안내 및 설명 의무화
보험금 지급사유 조사 관련 위임장 사용 결과 안내 및 설명을 명시하고, 조사결과를 안내장(SNS )으로 안내
정보제공 위임장 표준양식마련
 
[과도한 정보수집 방지 및 수집정보 관리 강화 방안 마련]
보험금 지급사유 조사 시 과도한 정보수집 방지
고객정보 동의 시 필수정보’, ‘선택정보로 구분
- 구분 시 선택정보에 대하여 동의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하고, 제공한 정보를 철회할 수 있는 방안 마련
공제사업자(보험사)의 외부업체 위탁 시·정보제공 최소화
- 위탁 외부업체에 수집 개인정보 제공 시 이용목적, 제공내용, 이용기간 명시 제공 범위 최소화
보험사 및 공제사업자*가 보험금 지급사유 조사를 위해 보험소비자에게 받아가는 위임장의 사용목적과 사용내역, 그리고 사용결과를 소비자에게 안내·설명하도록 하는 제도개선 방안이 추진된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이성보)는 보험사와 공제사업자가 보험금 지급사유 조사를 위해 받아간 위임장의 사용목적과 사용내역에 대하여 보험소비자에게 사전에 안내·설명 하도록 하고, 위임장의 사용결과를 안내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우정사업본부, 금융감독원, 새마을금고중앙회, 신협중앙회, 수협중앙회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 공제사업은 보험회사가 아닌 비영리 형태로 보험사업, 신용사업 등을 운영, 보험회사는 금융감독원의 감독을 받고 있으나 공제사업자인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행정자치부, 신용협동조합중앙회는 금융위원회,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는 농림축산부, 우체국보험은 우정사업본부의 감독을 각각 받고 있음
 
최근 권익위 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존에는 보험사와 공제사업자가 고액 보험금 지급 사고 등 의심스러운 상황으로 판단될 때 보험금 지급과 관련하여 해당 보험소비자에게 여러 장(4~5)위임장 받아 지급 사유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받아간 위임장의 사용목적과 사용내역, 사용결과에 대해서는 보험소비자에게 안내나 설명을 제대로 해주지 않고 있었다.
< 보험금 지급사유 위임장 사용 조사 관련 안내 요청 민원 >
저는 경추통, 경추협착증 등 목뼈 이상으로 4개월째 병원에 입원 중에 있음. 보험사(공제보험)에서 장기 입원환자라고 위임장을 달라고 하여 4장을 써 주었으나 받아간 위임장을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도 제대로 없었음. 보험사(공제보험)가 보험소비자의 위임장을 받아가서 조사를 실시할 때, 위임장의 사용 용도와 위임장 사용 내역을 반드시 당사자에게 통보해 주도록 개선 요청
(국민신문고,‘14. 4)
이에 대해 권익위는 보험사와 공제사업자의 보험금 지급과 관련해 보험소비자에게 위임장을 받아 조사 시 그 사용목적과 사용내용, 사용결과를 해당 보험소비자에게 안내·설명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고하였다.
 
이와 더불어 보험소비자에게 인감증명서와 위임장을 받아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 보험사 질병정보 수집 관행 바꾸자>
 
보험업계의 묻지마 식질병정보수집 관행과 계약자의 인권침해에 대해서는 눈을 감고 있는 듯하다. 질병 정보는 민감 정보에 속해 외부 유출로 이어진다면 사회적 파장은 이번카드사태이상이라는 분석이다. 보험사간 질병 정보의 공유 뿐 아니라 수집과 저장에도 엄격한 제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보험사들의 과다한 정보 수집을 제한하고 제3자 제공 여부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지적도 있다... (서울신문, 14. 2)
권익위는 보험사와 공제사업자를 상대로 해당 보험금 지급과 직접 관련이 없는 진료정보, 가족정보 등 사생활 침해 소지가 있는 정보 수집을 엄격히 제한하도록 권고했다.
 
그리고 현행 개인정보 수집 시 필수정보선택정보를 제대로 구분하지 않고 정보제공 동의를 구하거나, 위탁 등 제3자에게 제공하는 정보가 너무 과도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와 관련 권익위는 고객정보 이용 동의 시 필수정보선택정보 명확히 구분해 선택정보에 대해서는 보험소비자가 동의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이 원하는 경우 정보제공 동의를 철회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또한 외부업체에 위탁 시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정보의 이용 목적과 내용, 기간, 파기계획 등을 명시하도록 권고했다.
 
금융감독원의보험 분야 개인정보 관련 가이드라인준용
 
권익위 관계자는 이번 제도 개선방안이 추진되면 보험사 및 공제사업자의 위임장 사용에 있어 투명성을 강화하는 한편,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으로 야기되는 사회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권익위원회 2015-03-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80 금년 6월 22일부터 여권 분실신고 즉시 여권 효력 상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0
4879 금년 12월 4일부터는 '통합연금포털'에서 우체국 연금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4 104
4878 금감원이 적발한 허위-과다입원 나이롱 환자 분석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4 132
4877 금감원을 사칭하는 가짜 이메일 피싱(Email-phishing)에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2 63
4876 금감원-영화 '함정' 보이스피싱 예방 공동 캠페인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0 137
4875 금감원-대부금융협회, 무등록 대부업체 발 못 붙이게 대출중개사이트 개선키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92
4874 금감원-경찰청 '금융사기 근절' 협력 성과 및 향후 대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7 80
4873 금감원,서울시,6개 주요은행, 손잡고 금융사기 예방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41
4872 금감원,「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직적이고 지능적인 자동차보험사기 대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8 42
4871 금감원, 카드사의 취약계층에 대한 무분별한 압류관행 근절시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8 121
4870 금감원, 자금세탁방지 점검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95
4869 금감원, 온라인 결제서비스 '삼성페이' 보안성심의 완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4 132
4868 금감원, 보험설계사 등 보험사기 브로커에 대한 기획조사로 혐의자 104명, 128억원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5 99
4867 금감원, 민생침해 5대 금융악 특별대책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87
4866 금감원, 다수인 탑승시켜 반복적 고의사고 야기한 10개 보험사기 조직 등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2 220
Board Pagination Prev 1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