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휴대전화 충전기 폭발·화재 등 소비자 안전사고 빈발

- 안전인증과 달리 부품이 없거나 변경된 불법제품 많아 -

이 자료는 3월 13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3월 12일 12시)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전화의 배터리 충전기에 인한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는 불법제품까지 다수 유통되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지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휴대전화 충전기 관련 위해사례가 263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 2011년 30건, 2012년 52건, 2013년 79건, 2014년 102건임.

1  

제품이 폭발하거나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196건(74.5%)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과열 등으로 인해 제품이 녹아내린 경우가 37건(14.1%), 누전이 발생한 경우가 30건(11.4%) 등의 순이었다.

신체에 상해를 입은 경우는 모두 57건으로, 손과 팔 등에 화상을 입은 사례가 40건(70.2%), 감전된 사례가 16건(28.1%) 이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휴대전화 제조사에서 판매하는 충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해 온라인쇼핑몰 등에서 많이 팔리는 저가형 충전기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인증 동일성 검사*를 실시했다.

* 안전인증 동일성 검사 : 충전기(직류전원장치)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으로 분류되어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안전인증을 받은 후 판매토록 하고 있음. 안전인증 동일성 검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 안전인증 신청 당시와 동일한 부품 등을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임.

검사 결과, 14개 제품(70.0%)이 인증 받을 때와 다르게 부품 등을 임의로 변경하여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품이 없거나 변경’된 경우가 11건으로 가장 많았고, ‘출력 정격 전류 표시 불일치’가 10건, ‘모델명 또는 제조업체 변경’이 6건 등이었다.

    2 

변경제품 14개, 임의 변경 내용 중복 집계

 3 

또한, 안전인증대상 전기용품에 반드시 표시하여야 하는 표시내용을 살펴본 결과, 9개 제품(45.0)%이 안전인증 표지나 안전인증 번호를 기재하지 않는 등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임의 변경된 불법제품으로 인해 소비자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은 만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국가기술표준원은 한국소비자원의 금번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업체에 대한 행정조치와 더불어 충전기(직류전원장치)를 중점관리대상 전기용품으로 선정하여 집중적인 안전성 조사를 실시할 계획임을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2015-03-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 결혼정보 업체인 듀오정보(주)의 표시·광고법위반에 대한 서울고등법원 판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0 271
358 관공서 사칭 문자메세지 이용한 금융사기 크게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129
357 전국 산후조리원 일제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96
356 국민이 필요한 민원서비스, 정부가 알아서 척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79
355 집 근처에서 보다 편리하게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84
354 교차로 소통 개선을 위해 비보호 겸용 좌회전 전국 확대 등 신호체계 개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109
353 통장 명의인이 범죄자금을 인출하도록 하여 착취-도주한 신종사기 발생에 따른 당부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87
352 7개 모바일 게임 판매 사업자의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9 87
351 바닷물고기 섭취시 고래회충 예방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118
350 구중청량제, 에탄올 함유 시 주의사항 추가 기재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109
349 내게 필요한 공공서비스 ‘딱’ 골라 준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75
348 ‘2014년 진료비 심사실적 통계’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2014년 20대 남성 진료비 증가’에 관해 다음과 같이 부연설명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89
347 재능있는 어르신들께 나눔활동 기회를 드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68
346 소중한 면허, 잘 관리하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68
345 기업형 임대사업자의 자금조달이 수월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90
Board Pagination Prev 1 ... 897 898 89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