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석 명절 택배, 해외 여행 소비자 피해 주의하세요

공정위, 추석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공정거래위원회는 추석을 앞두고 택배, 해외 여행 등 소비자 피해가 우려되는 분야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명절 전후에는 택배 물량이 급증해 배송 지연, 파손 등의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또한, 연휴기간 해외 여행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관련 소비자 피해도 늘고 있다.

< 택배 서비스 >

배송 예정일, 추석 명절이 지난 후에야 물건이 배달되어 명절날 제때 이용하지 못하는 피해 사례가 많다.

#A씨는 명절 전까지 선물용 김 배송이 가능하다는 설명을 돋고 배송을 맡겼다. 그러나 명절이 지난 후 뒤늦게 배송됐다.

#B씨는 명절 선물로 곶감을 보냈다는 연락을 받고 기다렸으나 명절이 한참 지나서야 배송받을 수 있었다.

또한 택배 업체의 부주의로 상품이 훼손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많다.

#C씨는 지인에게 택배로 과일 선물을 받았으나 과일이 변색되고 파손되어 있었다.

#D씨는 명절 선물로 한우세트를 받았는데 택배 기사가 아무런 연락없이 택배를 경비실에 맡기고 갔다. 뒤늦게 확인해보니 상품이 상한 상태였다.

#E씨는 명절 선물로 배를 주문했으나, 며칠 후 택배 기사로부터 선물세트를 잃어버렸다는 연락을 받았다.

따라서 명절 기간에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물량이 일시에 몰려 배송이 지연되는 사례가 많으므로 최소 12주의 여유를 갖고 배송을 의뢰해야 한다.

약속된 배송 날짜가 지연되어 피해를 입은 경우 운송장의 근거자료(물품 가격 등)에 따라 손해 배상이 가능하다.

농수산물은 품명과 중량, 공산품은 물품 고유번호와 수량 등을 운송장에 기재하고 물품 가격도 기재해야 한다. 운송장은 소비자가 직접 작성해야 하며 교부된 운송장은 운송물의 배송이 완료될 때까지 보관해야 한다.

또한 파손이나 훼손의 우려가 있는 물품은 파손주의등의 문구를 표기하고, 부패나 변질이 우려되는 음식, 농산물은 특송 서비스나 전문 택배 업체를 이용해야 한다.

선물을 보내는 사람은 받는 사람에게 물품 종류와 수량, 배송 예정일 등을 알려 물품이 변질이나 부패되기 전에 수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해외 여행 >

명절 기간에 출발하는 여행 상품을 예약하였으나 여행사에서 일방적으로 취소하거나 일정을 변경하는 피해 사례가 많다.

#푸켓 여행을 예약한 F씨는 여행사로부터 항공권을 확보하지 못해 여행이 취소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명절 연휴에 출발하는 이탈리아 여행을 예약한 G씨는 여행 8일 전에 여행사에서 참가자 수가 20명이 안 된다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계약을 취소했다.

사전 고지없이 현지에서 추가적인 비용이나 선택 관광(옵션 상품) 이용을 요구하는 피해 사례도 있다.

#중국 청도 패키지 여행에 참가한 H씨는 사전에 고지되어 있지 않은 맥주공장을 방문하는 선택 관광을 강요받았다. 때문에 당초 일정에 있던 수영장과 사우나를 이용하지 못했다.

여행업체의 부도 등으로 여행이 취소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여행업체을 선택할 때, 등록된 업체인지, 보증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 등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패키지 여행 상품의 경우 이름만 저가인 상품에 현혹되지 말고, 추가 비용과 선택 관광 등 주요 정보를 사전에 문의하여 꼼꼼히 확인한 후 선택해야 한다.

여행사가 광고한 상품 가격에 여행 가이드 비용, 유류 할증료, 현지 관광 입장료 등 필수 경비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본인이 선택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경비가 얼마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한, 선택 관광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대체 일정이 기본 일정과 잘 연계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여행 중 피해를 입었다면, 배상이 완료될 때까지 계약서나 영수증, 사진 등의 증빙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추석 명절 기간에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 경우 소비자 상담 센터(전국 단일번호 1372)와 한국소비자원에 피해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2016-08-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5 5.4일부터 신혼부부 특별공급 2배 확대, 특별공급 인터넷청약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3 42
1744 5.31부터 직업적 트라우마 전문상담센터 시범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7
1743 5.29일 대체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19
1742 5.27일부터 ‘튜닝 일자리 포털’ 서비스 시행, 화물차 ‘캠퍼’ 튜닝도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1
1741 4천8백만 이동통신 가입자, 전자증명서 이용이 간편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3 20
1740 4차산업혁명기반 스마트행정으로 혁신을 선도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55
1739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 선택 어떻게 할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5 19
1738 4일부터 건설공사 불공정행위 전담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3 10
1737 4인가구 소득 211만원까지 기초생활수급자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7 79
1736 4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민간앱에서 KTX‧국립수목원 예약을 한 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2 36
1735 4월은 부가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4 91
1734 4월은 부가가치세의 달, 248만 명에게 예정고지서를 보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04 27
1733 4월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9 23
1732 4월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8 12
1731 4월은 법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의 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6 12
Board Pagination Prev 1 ...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