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5년 리콜 총 1,586, 공산품 · 식품 리콜 증가

공정위, 2015년 리콜 실적 발표

#A사의 노트북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 화상 위험이 있어 사업자가 자진 수거 및 교환 실시(자진리콜, 2015422)

#D사의 들기름에서 벤조피렌이 기준 초과 검출되어 회수 · 폐기 명령(리콜명령, 2015415)

#F사의 무좀 치료제 일부 제품이 보관 조건에 따라 튜브가 터질 수 있어 자진 회수 조치(자진리콜, 2015722)

#I사의 일부 차종에서 에어백 결함이 발생되어 자진 회수 조치(자진리콜, 2015717)

공정거래위원회는 리콜 관련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토부, 식약처 등 정부 부처와 지차체, 소비자원의 2015년 리콜 실적을 분석해서 발표했다.

2015년 리콜 건수는 총 1,586건으로 20141,752건 보다 약 9.5%, 166건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2014년 한약재에 대한 식약처의 대규모 리콜 명령으로 대폭 증가했던 의약품 리콜이 예년 수준으로 감소했을 뿐 전반적으로는 증가 추세이다.

유형별로는 리콜 명령이 890건으로 절반 이상(56.12%)을 차지했다. 자진 리콜이 2013263, 2014339, 2015536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점에 더하여 결함 제품의 자발적 리콜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기업의 노력 등으로 판단된다.

품목별로는 일반 공산품 리콜이 654건으로 가장 많았고, 식품 375, 의약품 212, 자동차 203건 순이었다.

공산품의 경우 국가기술표준원의 안전 기준 위반 제품 조사와 처분 기준 강화 등으로 리콜 명령이 422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식품에서는 식약처의 자가 품질 검사 개선 방안 마련과 교육 강화 등에 따라 자진 리콜이 59건에서 152건으로 증가했다.

의약품에서 자진 리콜은 소폭 증가한 반면 2014년 한약재 관련 대규모 조치로 급증했던 리콜 명령이 예년 수준으로 대폭 감소했다.

자동차관리법 상 자동차 안전 기준, 부품 안전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결함 발견 등에 따라 자동차 업계의 자진 리콜도 소폭 증가했다.

리콜 실적과 자세한 품목별 정보는 스마트 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go.kr)와 전용 앱(AP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올해 말 소비자 종합 지원 시스템이 개통되면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통합 리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2016-08-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14 이제 복지로에서 본인과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모든 복지서비스를 한 번에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1 79
3213 택배서비스에 대한 평가 기준 마련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2 79
3212 '16년말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는 233㎢, 전 국토의 0.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08 79
3211 (해명자료)원가에 이미 수익 포함...3조원 미리 챙긴 한전(SBS, 9.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30 79
3210 반영구화장용 문신 염료, 유해물질 다량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79
3209 난임시술지원 확대로 9월에만 9,749건 지원 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6 79
3208 지방세 고액·상습체납자 36,433명 명단 일제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79
3207 실내 흡연으로 인한 공동주택 입주민 피해 방지 방안 마련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0 79
3206 겨울철 국민 다소비 수산물 사전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7 79
3205 원격으로 피해자 PC에 접속하여 자금을 이체하는 신종 파밍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9
3204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대상범위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1 79
3203 영업정지 기간 중 불법적으로 영업을 한 식품업체 2곳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5 79
3202 다운 이불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79
3201 버팀목 전세대출 이자·보증료 줄어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79
3200 돈가스, 소시지 등 22개 군납 급식류 품목 입찰 담합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79
Board Pagination Prev 1 ...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