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부 수입 냉동과일제품, 대장균군 기준 초과 검출

- 최대 허용한계치의 5~6배 이르러 -

무더운 여름철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냉동과일이 인기다. 특히 달콤새콤한 망고, 건강에 좋은 블루베리 등 수입 과일들이 냉동과일제품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냉동과일은 가열 등의 조리과정 없이 주로 있는 그대로 섭취하거나 주스를 만들어 먹기 때문에 각별한 위생관리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정부 3.0의 일환으로 협업기관인 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과 함께 수입 냉동과일의 안전성 점검을 위해 시중에 유통 중인 25개 제품*의 위생도(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등), 잔류농약 등을 조사하였다.

* 25개 제품은 냉동블루베리(10개), 냉동망고(10개), 냉동딸기(5개)로, 제품유형별로는 “과·채가공품류”(17개)와 “농산물”(8개)로 분류되나, 시중에서 동일하게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음.

□ 조사대상 2개 제품, 대장균군 기준 부적합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2개 제품(과·채가공품류 유형)이 대장균군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제품의 대장균군 검출량은 각각 15~560CFU/g, 0~650CFU/g으로 부적합 제품 중 일부가 최대허용한계치(100CFU/g)의 5~6배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 대장균군 기준 위반 제품 ]fff

* n : 검사하기 위한 시료의 수, c : 최대허용시료수(m을 초과하고 M이하인 시료의 수가 c이하일 경우 적합), m : 미생물 최소허용기준치로서 결과가 모두 m이하인 경우 적합, M : 미생물 최대허용한계치로서 결과가 하나라도 M을 초과하는 경우 부적합

<대장균군>

사람과 동물의 장관에서 배출된 대장균과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고 물, 토양에 넓게 분포하는 세균을 통칭

대부분 병원성이 없으나 식품에서 대장균군 검출은 비위생적으로 제조되었음을 의미하는 오염지표로 활용됨.

반면, 일반세균*의 경우 최대 23,000CFU/g이 검출되었으나 조사대상 제품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고,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도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일반세균은 식품 제조공정 상 위생관리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 미생물로 기준은 n=5, c=2, m=100,000 M=500,000이며 적용방식은 대장균군과 동일함.

** 자연환경 및 식품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균으로 냉동, 냉장, 저장 식품을 통해 식중독을 발생시킴.

조사대상 25개 전 제품, 농약성분 불검출 또는 농약잔류허용기준 이내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18개 제품(72.0%)에서 12종류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나, 검출량은 많지 않았고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수입 냉동과일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피해확산을 막기 위해 기준위반 업체에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판매중단을 권고하여 조치를 완료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수입 냉동과일의 수입 및 유통 단계의 위생관리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8-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65 전기자전거, 자전거도로에서 타도 안전에 문제없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9 171
12664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 대상범위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148
12663 프라이팬, 코팅 및 손잡이 강도 등 품질 대체로 우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266
12662 지방흡입술 후 신경 손상된 환자에게 손해배상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82
12661 생애주기별 맞춤형복지 완성과 안전한 국민생활 여건 조성을 위한 2016년도 민생안정 지원 주요 사업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106
12660 해외 감염병 대응을 위해 외교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손잡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83
12659 농관원, 제과점 ‘유기’ 표시 일제단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74
12658 국내 유통 의약품의 품질연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77
12657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87
12656 거주사실 증빙자료 없었던 집주인 이주정착금 보상받게 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89
12655 아파트 CCTV, 또렷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1 107
12654 올 가을엔 가족·연인과 아름다운 섬마을 방문해 볼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1 211
12653 추석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0
12652 오픈마켓 시장 실태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78
12651 대출금리 등 비교공시 강화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1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