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부 수입 냉동과일제품, 대장균군 기준 초과 검출

- 최대 허용한계치의 5~6배 이르러 -

무더운 여름철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냉동과일이 인기다. 특히 달콤새콤한 망고, 건강에 좋은 블루베리 등 수입 과일들이 냉동과일제품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냉동과일은 가열 등의 조리과정 없이 주로 있는 그대로 섭취하거나 주스를 만들어 먹기 때문에 각별한 위생관리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정부 3.0의 일환으로 협업기관인 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과 함께 수입 냉동과일의 안전성 점검을 위해 시중에 유통 중인 25개 제품*의 위생도(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등), 잔류농약 등을 조사하였다.

* 25개 제품은 냉동블루베리(10개), 냉동망고(10개), 냉동딸기(5개)로, 제품유형별로는 “과·채가공품류”(17개)와 “농산물”(8개)로 분류되나, 시중에서 동일하게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음.

□ 조사대상 2개 제품, 대장균군 기준 부적합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2개 제품(과·채가공품류 유형)이 대장균군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제품의 대장균군 검출량은 각각 15~560CFU/g, 0~650CFU/g으로 부적합 제품 중 일부가 최대허용한계치(100CFU/g)의 5~6배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 대장균군 기준 위반 제품 ]fff

* n : 검사하기 위한 시료의 수, c : 최대허용시료수(m을 초과하고 M이하인 시료의 수가 c이하일 경우 적합), m : 미생물 최소허용기준치로서 결과가 모두 m이하인 경우 적합, M : 미생물 최대허용한계치로서 결과가 하나라도 M을 초과하는 경우 부적합

<대장균군>

사람과 동물의 장관에서 배출된 대장균과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고 물, 토양에 넓게 분포하는 세균을 통칭

대부분 병원성이 없으나 식품에서 대장균군 검출은 비위생적으로 제조되었음을 의미하는 오염지표로 활용됨.

반면, 일반세균*의 경우 최대 23,000CFU/g이 검출되었으나 조사대상 제품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고,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도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일반세균은 식품 제조공정 상 위생관리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 미생물로 기준은 n=5, c=2, m=100,000 M=500,000이며 적용방식은 대장균군과 동일함.

** 자연환경 및 식품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균으로 냉동, 냉장, 저장 식품을 통해 식중독을 발생시킴.

조사대상 25개 전 제품, 농약성분 불검출 또는 농약잔류허용기준 이내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18개 제품(72.0%)에서 12종류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나, 검출량은 많지 않았고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수입 냉동과일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피해확산을 막기 위해 기준위반 업체에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판매중단을 권고하여 조치를 완료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수입 냉동과일의 수입 및 유통 단계의 위생관리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8-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2.19.∼2016.2.2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9 100
3472 일본에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 증가, 고위험군 증상발생 시 신속한 치료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5 35
3471 일본의 보이스피싱 피해실태와 예방노력 및 시사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6 106
3470 일부 '무글루텐(Gluten Free)' 식품, 표시·광고 내용과 달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3 17
3469 일부 가맹점의 카드 수수료 인상 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1 89
3468 일부 고속충전기, 안전기준에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2 9
3467 일부 공공기관 '직위해제' 규정 없어… 형사기소 돼도 근무 가능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4 467
3466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6 53
3465 일부 국내결혼중개업체, 주요 정보 제공 의무 준수하지 않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7 24
3464 일부 글루타치온 식품, 글루타치온 함량 표시·광고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09 22
3463 일부 김서림 방지제에서 안전기준 초과하는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30 20
3462 일부 낚시도구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납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6 21
3461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103
3460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0 91
3459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0 106
Board Pagination Prev 1 ...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