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부 수입 냉동과일제품, 대장균군 기준 초과 검출

- 최대 허용한계치의 5~6배 이르러 -

무더운 여름철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냉동과일이 인기다. 특히 달콤새콤한 망고, 건강에 좋은 블루베리 등 수입 과일들이 냉동과일제품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냉동과일은 가열 등의 조리과정 없이 주로 있는 그대로 섭취하거나 주스를 만들어 먹기 때문에 각별한 위생관리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정부 3.0의 일환으로 협업기관인 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재욱)과 함께 수입 냉동과일의 안전성 점검을 위해 시중에 유통 중인 25개 제품*의 위생도(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등), 잔류농약 등을 조사하였다.

* 25개 제품은 냉동블루베리(10개), 냉동망고(10개), 냉동딸기(5개)로, 제품유형별로는 “과·채가공품류”(17개)와 “농산물”(8개)로 분류되나, 시중에서 동일하게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음.

□ 조사대상 2개 제품, 대장균군 기준 부적합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2개 제품(과·채가공품류 유형)이 대장균군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제품의 대장균군 검출량은 각각 15~560CFU/g, 0~650CFU/g으로 부적합 제품 중 일부가 최대허용한계치(100CFU/g)의 5~6배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 대장균군 기준 위반 제품 ]fff

* n : 검사하기 위한 시료의 수, c : 최대허용시료수(m을 초과하고 M이하인 시료의 수가 c이하일 경우 적합), m : 미생물 최소허용기준치로서 결과가 모두 m이하인 경우 적합, M : 미생물 최대허용한계치로서 결과가 하나라도 M을 초과하는 경우 부적합

<대장균군>

사람과 동물의 장관에서 배출된 대장균과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고 물, 토양에 넓게 분포하는 세균을 통칭

대부분 병원성이 없으나 식품에서 대장균군 검출은 비위생적으로 제조되었음을 의미하는 오염지표로 활용됨.

반면, 일반세균*의 경우 최대 23,000CFU/g이 검출되었으나 조사대상 제품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고,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도 전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일반세균은 식품 제조공정 상 위생관리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 미생물로 기준은 n=5, c=2, m=100,000 M=500,000이며 적용방식은 대장균군과 동일함.

** 자연환경 및 식품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균으로 냉동, 냉장, 저장 식품을 통해 식중독을 발생시킴.

조사대상 25개 전 제품, 농약성분 불검출 또는 농약잔류허용기준 이내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18개 제품(72.0%)에서 12종류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나, 검출량은 많지 않았고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수입 냉동과일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피해확산을 막기 위해 기준위반 업체에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판매중단을 권고하여 조치를 완료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수입 냉동과일의 수입 및 유통 단계의 위생관리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6-08-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45 [금융꿀팁] 153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가입시 알아야 할 유익정보 및 분쟁사례를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9 17
10444 가정과 지구를 지키며 구매해요… 2024 녹색소비주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17
10443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8월 16일부터 일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9 18
10442 최중증 독거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폭염기간 집중 이용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7 18
10441 공간정보 활용 쉬워진다…종류·개방물량 표준분류체계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9 18
10440 2018년 2/4분기 다단계판매업자 주요정보 변경사항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9 18
10439 7월말 전국 미분양 63,132호, 전월대비 1.7% (1,082호)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0 18
10438 추석연휴, 가족과 함께하는 국립공원 탐방명소 5곳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18
10437 지방의회의원 월정수당,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3 18
10436 지방이양일괄법,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3 18
10435 2018년 동계시즌 바뀌는 항공편, 확인하고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5 18
10434 공연 전, 관객에 피난 안내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9 18
10433 韓·싱가포르, 중독문제 및 예방.치료 프로그램 공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2 18
10432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60.6%, 65세이상 어르신 80.6% 접종, 미접종자 11월 내 접종가능 의료기관 확인 후 방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2 18
10431 공공택지 공급주택 분양가격 공시항목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5 18
Board Pagination Prev 1 ...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