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정자치부는 지난 주말(2.28. 00:30 ~ 3.2. 09:00) 지역정보개발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공아이핀시스템에서 75만건의 아이핀이 부정발급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행자부(지역정보개발원)는 사고 발생 즉시, 부정발급에 이용된 프로그램 취약점을 수정하여 추가 부정발급을 차단하고 부정발급된 아이핀 전부를 긴급 삭제조치 했으며,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사고발생 즉시 공공아이핀센터에 비상대응팀을 구성하여 24시간 집중 모니터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공공아이핀 정상발급 절차를 우회(프로그램 취약점 이용)하여 아이핀을 대량으로 부정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발급 받은 아이핀 중 12만건이 3개 게임사이트의 신규 회원가입, 기존 이용자 계정 수정?변경 등에 이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행자부는 이번 사고로 인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민간아이핀기관과 관련 게임사에 사용내역을 전달, 긴급 사용자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하였다. 관련 게임사에서는 부정발급된 아이핀으로 신규회원 가입을 한 경우에는 회원 탈퇴 조치를 하였으며, 사용자 정보를 수정?변경한 경우에는 임시 사용중지 조치를 하였다.

한편, 행자부는 금번 사건을 경찰청에 긴급히 수사요청하여 현재 수사중에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파악된 사항은 이번 부정발급에 2천여개의 국내IP가 동원되었으며, 중국어 버전의 SW가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사고 다음날 3.3일과 오늘, 아이핀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여 금번 사고 대책에 대해 논의하고 기관별 추진상황도 점검하였다. 대책회의 결과, 프로그램 소스분석 및 모의해킹 등을 통해 아이핀 발급?인증체계 보안 취약점을 긴급점검, 개선조치 하고, 전문기관(한국지역정보개발원, KLID)을 통해 공공아이핀시스템 전면 재구축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민간아이핀의 경우에는 이번 사고와 같은 부정발급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방통위는 민간아이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2차 인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담당 : 개인정보보호정책과 이연주 (02-2100-4494)
 
[행정자치부 2015-03-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35 화장품 가격 및 소비실태 조사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20
12634 가상화폐인 코인을 악용한 불법 자금모집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120
12633 예금통장 매매 등 불법금융광고에 속지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2 120
12632 산후조리원.키즈카페 내 식품취급시설 위생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120
12631 농지연금 농지면적 가입기준 폐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120
12630 주거용 오피스텔의 도로점용료 부담 줄어 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120
12629 『가렵고 성가신 질병‘무좀’, 청결·건조한 발관리 중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7 120
12628 캡슐형 세제, 어린이 삼킴사고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120
»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사고 발생, 피해는 거의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6 120
12626 가해학생이 다수인 학교폭력, 개인별로 면밀히 살펴서 처벌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120
12625 수술 환자의 권리보호 및 안전관리 대폭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20
12624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 "산재보험법" 국무회의 심의.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119
12623 '19년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국 80.5만건, 서울 13.1만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3 119
12622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빵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119
12621 휴대전화로 무인민원발급기 위치와 발급정보를 알기 쉽게 쏙쏙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119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