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정자치부는 지난 주말(2.28. 00:30 ~ 3.2. 09:00) 지역정보개발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공공아이핀시스템에서 75만건의 아이핀이 부정발급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행자부(지역정보개발원)는 사고 발생 즉시, 부정발급에 이용된 프로그램 취약점을 수정하여 추가 부정발급을 차단하고 부정발급된 아이핀 전부를 긴급 삭제조치 했으며,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사고발생 즉시 공공아이핀센터에 비상대응팀을 구성하여 24시간 집중 모니터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공공아이핀 정상발급 절차를 우회(프로그램 취약점 이용)하여 아이핀을 대량으로 부정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발급 받은 아이핀 중 12만건이 3개 게임사이트의 신규 회원가입, 기존 이용자 계정 수정?변경 등에 이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행자부는 이번 사고로 인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민간아이핀기관과 관련 게임사에 사용내역을 전달, 긴급 사용자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하였다. 관련 게임사에서는 부정발급된 아이핀으로 신규회원 가입을 한 경우에는 회원 탈퇴 조치를 하였으며, 사용자 정보를 수정?변경한 경우에는 임시 사용중지 조치를 하였다.

한편, 행자부는 금번 사건을 경찰청에 긴급히 수사요청하여 현재 수사중에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파악된 사항은 이번 부정발급에 2천여개의 국내IP가 동원되었으며, 중국어 버전의 SW가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사고 다음날 3.3일과 오늘, 아이핀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여 금번 사고 대책에 대해 논의하고 기관별 추진상황도 점검하였다. 대책회의 결과, 프로그램 소스분석 및 모의해킹 등을 통해 아이핀 발급?인증체계 보안 취약점을 긴급점검, 개선조치 하고, 전문기관(한국지역정보개발원, KLID)을 통해 공공아이핀시스템 전면 재구축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민간아이핀의 경우에는 이번 사고와 같은 부정발급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방통위는 민간아이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2차 인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담당 : 개인정보보호정책과 이연주 (02-2100-4494)
 
[행정자치부 2015-03-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21 산재환자에 대한 화상 치료 전국적 진료망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0
12520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안전상 중대한 하자 있는 전동휠, 제조사가 도산했더라도 판매자가 환급"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10
12519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 시행 후 2년... 1,109명이 새번호 받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6 10
12518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의 인지능력진단, 전국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0
12517 사고 터널 500미터 앞 경보방송으로 후속 사고 예방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0
12516 가을 나들이 철 다중이용 식품취급시설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0
12515 우리 국민, 20년간 흡연은 줄고 비만은 늘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0
12514 보다 많은 어르신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31 10
12513 2019년 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적 수준에 대한 소비자 평가결과, 77.6점으로 2년 전에 비해 소폭 하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0
12512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0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5 10
12511 「2020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안)」에 대한 고시 전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0
12510 납 기준 초과 수입 냉동 다슬기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0 10
12509 손쉬운 목, 어깨 운동, 사무실에서 영상으로 함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10
12508 식약처, 원료의약품 불순물 안전관리 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2 10
12507 안전확인 대상 생활화학제품 고시 개정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0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