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4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결과 178억원 부당청구 적발

2015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대상기관을 980개로 확대 실시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2014년도에 921개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665개기관에서 178억원의 부당청구를 적발하고, 402개 기관에 대한 지정취소·폐쇄명령 등 행정처분을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장기요양 부당청구는 장기요양기관의 증가(‘ 08 8,444→’ 14 16,525개소)에 따른 과당경쟁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현황 : (’ 09) 32 → (’ 11) 97 → (’ 13) 112 → (’ 14) 178억원

2014년 부당청구 유형을 살펴보면, 입소시설의 경우 인력배치기준 위반, 재가기관(방문요양 등의 서비스제공)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청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유형>

<2014년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유형>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입소시설 인력배치기준위반 (74.6%) 인력추가배치가산위반 (16.9%) 정원초과기준위반 (5.9%)
재가기관 서비스미제공·증량청구 (43.4%) 방문목욕 수가위반 (15.0%) 주야간보호기준위반 (12.4%)

부당청구 주요사례

  • A 요양시설은 요양보호사로 등록된 3명 중 2명은 조리업무를 1명은 세탁업무를 수행하였음에도 17개월 동안 요양보호사로 어르신을 수발한 것으로 1억3천만원 부당청구(인력배치기준 위반)
  • D 재가기관은 장기요양수급자 20명에게 6개월간 실제 방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수급자 1명에게는 10개월 동안 서비스 시간을 늘려서 제공한 것으로 8천만원 부당청구(서비스 미제공·증량 청구)

조사대상기관 대비 부당청구 비율은 법인 55.6%, 개인시설 83%로, 개인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에는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대상기관을 전년도 921개 대비 980개(기획조사 150개, 수시조사 83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 기획조사 : 기관 적정청구 계도 등을 위해 조사항목 사전예고 후 조사

* 수시조사 : 공익신고, 급여비용 심사과정 등에서 부당청구가 예상되는 기관 조사

특히, 장기요양 부당청구의 외부적발에 한계가 있어 내부종사자 등의 공익신고(수시조사) 활성화를 위하여 신고포상금 지급한도를 상향 조정(5천만원→2억원)할 계획이며,

기획조사는 입소시설 75개소, 재가기관 75개소 등 150여개 기관을 선정하여 ‘ 종사자 인력기준 위반 및 급여제공기준 여부’ 등에 대하여 실시할 계획이다.

2015년 장기요양기관 기획조사 항목

  • 입소시설(75개소) : 종사자 인력기준 위반여부

    인력배치기준 위반, 인력추가배치기준 및 정원초과기준 위반 여부

  • 재가기관(75개소) : 급여제공기준 위반여부

    서비스 미제공·증량 청구, 방문목욕 제공 및 주야간보호 제공기준 위반 여부

기획조사 내용은 사전에 지자체 및 관련 단체 등을 통해 전국의 장기요양기관에 안내하고, 보건복지부(www.mw.go.kr)와 노인장기요양보험(www.longtermcare.or.kr) 홈페이지 등에도 게재할 계획이다.

앞으로, 부당청구 등 불법·부당행위가 확인되는 장기요양기관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및 수사의뢰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국민의 보험료로 운영하는 장기요양보험의 재정누수 방지와 기관 운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장기요양기관 지정요건 강화, 재무회계기준 정립 등 장기요양기관 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장기요양기관 지정요건 강화(취소기관 재지정 금지기간 1→3년 확대 등) 및 재무회계관련 노인장기요양보험개정법률안은 현재 국회 계류 중

 

[보건복지부 2015-03-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33 암페타민과 유사한 각성제가 함유된 운동보조제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18
12532 2014년 평가결과 최우수 호스피스 전문 의료기관 14곳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3 118
12531 결혼식장 등 계약 시 해지 규정 꼼꼼히 살펴봐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0 118
12530 중동 할랄식품시장에 우리 농식품 본격 수출 계기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6 118
» 2014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결과 178억원 부당청구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118
12528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18
12527 설 맞아 전국 467개 전통시장 주변도로 주차 허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9 118
12526 “국민의 의견이 정책이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7 117
12525 휴대폰 국내·외 가격 비교 기준, 방법 등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0 117
12524 「변비」 환자, 어린이와 노인이 절반 이상 차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4 117
12523 국제선 항공권, 출발일 기준 91일 이전에는 취소수수료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9 117
12522 수족구병 유행 감소...주의 지속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4 117
12521 매일경제('16.7.11.자 가판),「1년 수익률 -17%인데도 '중위험상품'?」보도 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1 117
12520 물놀이 후 귀가 가렵다면? 휴가철 ‘외이도염’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7 117
12519 반려동물 등록 100만 마리 시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1 117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