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4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결과 178억원 부당청구 적발

2015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대상기관을 980개로 확대 실시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2014년도에 921개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665개기관에서 178억원의 부당청구를 적발하고, 402개 기관에 대한 지정취소·폐쇄명령 등 행정처분을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장기요양 부당청구는 장기요양기관의 증가(‘ 08 8,444→’ 14 16,525개소)에 따른 과당경쟁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현황 : (’ 09) 32 → (’ 11) 97 → (’ 13) 112 → (’ 14) 178억원

2014년 부당청구 유형을 살펴보면, 입소시설의 경우 인력배치기준 위반, 재가기관(방문요양 등의 서비스제공)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청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유형>

<2014년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유형>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입소시설 인력배치기준위반 (74.6%) 인력추가배치가산위반 (16.9%) 정원초과기준위반 (5.9%)
재가기관 서비스미제공·증량청구 (43.4%) 방문목욕 수가위반 (15.0%) 주야간보호기준위반 (12.4%)

부당청구 주요사례

  • A 요양시설은 요양보호사로 등록된 3명 중 2명은 조리업무를 1명은 세탁업무를 수행하였음에도 17개월 동안 요양보호사로 어르신을 수발한 것으로 1억3천만원 부당청구(인력배치기준 위반)
  • D 재가기관은 장기요양수급자 20명에게 6개월간 실제 방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수급자 1명에게는 10개월 동안 서비스 시간을 늘려서 제공한 것으로 8천만원 부당청구(서비스 미제공·증량 청구)

조사대상기관 대비 부당청구 비율은 법인 55.6%, 개인시설 83%로, 개인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에는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대상기관을 전년도 921개 대비 980개(기획조사 150개, 수시조사 83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 기획조사 : 기관 적정청구 계도 등을 위해 조사항목 사전예고 후 조사

* 수시조사 : 공익신고, 급여비용 심사과정 등에서 부당청구가 예상되는 기관 조사

특히, 장기요양 부당청구의 외부적발에 한계가 있어 내부종사자 등의 공익신고(수시조사) 활성화를 위하여 신고포상금 지급한도를 상향 조정(5천만원→2억원)할 계획이며,

기획조사는 입소시설 75개소, 재가기관 75개소 등 150여개 기관을 선정하여 ‘ 종사자 인력기준 위반 및 급여제공기준 여부’ 등에 대하여 실시할 계획이다.

2015년 장기요양기관 기획조사 항목

  • 입소시설(75개소) : 종사자 인력기준 위반여부

    인력배치기준 위반, 인력추가배치기준 및 정원초과기준 위반 여부

  • 재가기관(75개소) : 급여제공기준 위반여부

    서비스 미제공·증량 청구, 방문목욕 제공 및 주야간보호 제공기준 위반 여부

기획조사 내용은 사전에 지자체 및 관련 단체 등을 통해 전국의 장기요양기관에 안내하고, 보건복지부(www.mw.go.kr)와 노인장기요양보험(www.longtermcare.or.kr) 홈페이지 등에도 게재할 계획이다.

앞으로, 부당청구 등 불법·부당행위가 확인되는 장기요양기관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및 수사의뢰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국민의 보험료로 운영하는 장기요양보험의 재정누수 방지와 기관 운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장기요양기관 지정요건 강화, 재무회계기준 정립 등 장기요양기관 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장기요양기관 지정요건 강화(취소기관 재지정 금지기간 1→3년 확대 등) 및 재무회계관련 노인장기요양보험개정법률안은 현재 국회 계류 중

 

[보건복지부 2015-03-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05 2021년 중ㆍ장년층 행정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0 23
12604 2021년 지역사랑상품권 설 명절까지 3조 원 팔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2 19
12603 2021년 지역소득(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2 17
12602 2021년 청소년 인터넷ㆍ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4 76
12601 2021년 초중고 학생 교육급여·교육비, 지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18
12600 2021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1 38
12599 2021년 퇴직연금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19 20
12598 2021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안) 18일부터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7 17
12597 2021년 표준지 공시지가(안) 24일부터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19
12596 2021년 하반기 영세, 중소신용카드 가맹점 선정 결과 및 2021년 상반기 신규 신용카드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 환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6 48
12595 2021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1
12594 2021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8 16
12593 2021년 한약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31 54
12592 2021년 해외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전년대비 약 150%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7 47
12591 2021년 혼인 이혼 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7 69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