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앞으로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아파트의 열에너지 사용량이나 전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7일부터 건축물 에너지 성능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부동산 포털 등에 건축물 에너지사용량 등급정보를 시범적으로 공개한다.

네이버부동산, 부동산 114, 부동산테크 등 주요 부동산 포털을 통해 수도권 소재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중 연간 에너지사용량이 우수한 건축물의 등급정보(A~B 등급, 평형별)를 확인*할 수 있다.
* 상대적 에너지사용량을 나타내는 A~E의 5단계 등급으로 구분되며, 수도권 전체 12,531개 평형(2,587 단지) 중 1,485개 평형(505단지, A∼B등급) 시범공개
 

《건축물 에너지사용량 등급 산정방법》

o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단지 내 동일평수 세대의 실제 에너지사용량을 동일한 기초 지자체 내 동일평수 세대의 표준 에너지사용량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산출 값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등급을 산정

[건축물 에너지사용량 등급 산출값 = (실제에너지사용량/표준에너지사용량)×100]

- 표준 에너지사용량은 대상건물이 소재한 지역 및 공동주택 면적구간에 따라 달라지며, 그 산출은 비교 건물군의 통계치 평균값으로 함
- 등급 구분 기준은 A~E의 5단계 등급으로 구분되며, 사용량이 적을수록 A, 많을수록 E 사용구간에 가까워짐(A등급의 경우 표준 에너지사용량의 0~50%, B등급의 경우 50~75%의 에너지를 사용)


향후,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과 연계하여 공개대상 건축물 및 부동산 포털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 전국의 모든 건축물과 에너지 사용정보의 통합을 통해 체계적으로 건물분야 에너지 절감을 추진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 항후 전국 소재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및 3,000㎡ 이상 비주거 건축물에 대해서도 건축물 에너지사용량 등급정보 공개를 확대할 계획

금번 시범공개는 주요 부동산 포털 등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편의와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건축물 연간 에너지사용량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자발적 에너지 성능향상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건축물의 단위면적당 연간 전기에너지사용량 등급, 열에너지사용량 등급, 전기와 열을 통합한 에너지사용량 등급을 제공하여 상대적인 에너지사용량 비교기준을 제시하고, 등급 산출에 적용된 전기 및 열에너지사용량(kWh/㎡·년)을 함께 제공하여 절대적인 사용량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를 도모하였다.

국토교통부는 건축물 에너지사용량 공개를 통하여 에너지 관련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기반을 마련하고, 우리 집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사용량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 및 자발적 에너지절약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 3.0 가치구현을 위해 에너지 공공데이터의 개방폭을 점차 확대하고, 이를 통해 에너지사용량 정보 등을 연계·활용한 관련 산업 육성에도 기여하여 창조경제 및 국민행복에 이바지할 것이다.

 

[국토교통부 2015-02-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78 저소득층 230만 명, 아동 263만 명, 노인일자리 공익활동 참여자 54만 명에 소비 쿠폰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118
5377 자동차 워셔액, 에탄올 함량 표시 의무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3
5376 공정위,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여 사업자의 자료제출 부담 완화 조치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77
5375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보험약관을 만들기 위해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제도를 개선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4
5374 방통위-EBS <라이브 특강> 서비스 포털로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67
5373 민생경제 회복 위해 건강보험료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4
5372 병적증명서의 아포스티유 온라인 발급 서비스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5
5371 조산원에서 출산해도 온라인으로 출생신고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2
5370 0325(03.26.조간)어린이 면마스크 2개 모델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61
5369 부패·공익신고, 코로나19 걱정 없이 ‘☏1398’ 또는 ‘청렴포털’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55
5368 10명 중 9명, 가정폭력 목격하면‘ 신고하는 것이 당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41
5367 분실한 주민등록증, 습득여부 확인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50
5366 올해 슬레이트 철거와 지붕개량 지원 대폭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54
5365 온라인 거래‧광고 계약시 이용자 피해, ICT 분쟁조정지원센터(☎118)에 바로 문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7 40
5364 볼보, 한국지엠, 랜드로버, 폭스바겐, 혼다 등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8개사 39,760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7 68
Board Pagination Prev 1 ...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