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초등학생 사교육비 가계 부담 여전

- ‘방과 후 학교’ 이용 학부모 10명 중 9명이 만족 -

이 자료는 2월 25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2월 24일 12시)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00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 사교육 실태와 지출비용 등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62.7%가 가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방과 후 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 자녀 1인당 월 평균 37만원, 74.0%가 가계소득의 10% 넘는 금액 지출

초등학생 학부모는 자녀 1인당 사교육비로 한 달 평균 37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학년(1~3학년)은 약 32만원, 고학년(4~6학년)은 약 43만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74.0%가 월 가계소득에서 자녀의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초과한다 응답하였다. 세부적으로 ‘10%초과~20%이하‘는 39.0%, 이어 ’10%이하‘ 26.0%, ’20%초과~30%이하‘ 22.6%, ’30%초과~50%이하‘ 11.1%, ’50%초과‘ 1.3% 순이었다.

이 같은 사교육비 지출에 대하여 학부모의 62.7%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 초등학생 사교육 과목, 영어·수학·예체능 순

초등학생들이 받는 사교육 과목을 조사한 결과, 영어(73.5%)10명 중 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수학(54.8%), 음악(37.6%), 체육(32.9%), 국어(22.2%) 등의 순이었다. 학년별로는 저학년의 경우 영어와 음악, 학년은 영어와 수학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41.0%는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부터 사교육을 시작한 것으로 응답하여, ‘초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시작한 경우 25.2%를 포함하면, 학부모의 66.2%가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사교육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교육 횟수는 주 3-4회, 일평균 자유시간 2-3시간 이내가 절반 이상

사교육 횟수는 ‘주 3~4회’가 37.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주 5~6회’ 33.6%, ‘주 1~2회’ 18.5%, ‘매일’ 받는 경우도 10.0%에 달했다.

이에 따라 사교육을 받는 초등학생의 52.7%는 자유시간이 일평균 ‘2~3시간 이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방과 후 학교’ 이용 학부모 10명 중 9명이 ‘만족’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8.8%로, 이 가운데 68.3%가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방과 후 학교 : 기존의 특기적성교육과 방과 후 교실, 수준별 보충학습을 통합하여, 2006년부터 ··등학교에서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교육체제

‘방과 후 학교’에서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수강하는 과목은 ‘컴퓨터·IT'(26.6%)였고 다음으로 체육과 과학(각각 19.8%), 영어(18.6%), 미술(15.9%), 음악(13.7%) 순이었다.

특히,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91.3%가 만족하고 있었다.

 

사교육비 경감방안으로 ‘경쟁위주 교육·입시체계 변화’와 ‘다양한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 확대’ 등 요구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조사대상자의 62.2%는 ‘경쟁위주의 교육·입시체계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공교육 중심 입시제도 강화(49.1%)’등 거시적인 대응방안과 함께 ‘특기계발을 위한 다양한 방과 후 학교 확대실시(40.6%)’, ‘다양한 전문교사 수 확충(34.9%)’, ’진로·직업교육 강화(28.3%)‘ 등 미시적인 개선방안도 요구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가계부담 경감 등을 위해 이용자 만족도가 높은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 성공적인 사례에 대한 홍보를 통해 사교육 수요를 공교육으로 흡수하는 방안을 교육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2-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05 제2기(‘15∼’17년) 전문병원 111개 병원 지정 소비생활센터 2015.01.02 469
13804 모든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 명칭을 「해바라기센터」로 통일, 이용자 혼선 없앤다 cunsumer 2015.01.02 510
13803 2015년부터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본인부담상한액 적용 cunsumer 2015.01.02 552
13802 해양심층수 모든 식품에 사용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31
13801 2015년 식·의약품 안전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2 445
13800 해외 여행지 안전정보 제공 의무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23
13799 미용실‧숙박업 폐업신고 세무서나 구청 한 곳에서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84
13798 폐 망가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최근 진료인원 감소 추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30
13797 한약재 GMP 전면의무화로 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5 446
13796 선불식 할부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 지침 개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395
13795 보험계약체결 및 보험금 청구시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01
13794 아동권익 보호를 위한 입양기관 행정처분 기준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68
13793 “「한국의 밥心」쌀은 식량이기 이전에 우리의 정체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390
13792 4-메틸이미다졸 기준초과‘카라멜색소’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98
13791 범정부 차원의 『복지?보조금 부정 신고센터』출범 확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