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5일부터 전국 14,000개 병의원에서 금연치료 받으세요

건보공단 홈페이지, 대표전화(1577-1000) 등을 통해 참여기관 확인 가능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오는 25일부터 전국 1만4000여개 병의원에서 건강보험에서 지원하는 금연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1월 26일부터 2월 23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금연치료 의료기관으로 등록을 신청한 기관은 14,237개소로 전체 병의원의 22.3%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원이 7,342개소(25.4%)로 가장 높았으며, 진료과목별로는 내과(57.9%), 가정의학과(44.0%) 등의 참여율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구별 평균 62개 기관이 신청하였으나, 서울, 대구, 광주 등 도시지역이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 자치구별 평균 154개소 참여

2015.2.23.기준 (단위 : 건)

금연치료 병원안내
구분 의원 병원 보건기관
소계 의원 치과 한의원
기관수 (‘15.1.31기준) 63,777 58,837 28,930 16,232 13,675 3,367 1,573
참여기관 (참여율) 14,237 (22.3%) 13,540 (23.0%) 7,342 (25.4%) 3,825 (23.6%) 2,373 (17.4%) 546 (16.2%) 151 (9.6%)

금연치료 등록신청은 지원사업이 시작된 이후에도 언제든지 가능하므로 향후 참여 의료기관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흡연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전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또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를 통해 등록 의료기관인지 확인을 바라며,

건보공단 대표전화(1577-1000)를 통해서도 손쉽게 가까운 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병의원에 등록해 치료를 받을 경우 12주 동안 6회 이내의 상담과 금연치료의약품 또는 금연보조제 투약비용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

< 프로그램 개요 > - 첨부파일 참조

* 지원금액 및 본인부담금은 지난 1.27일자 보도자료 참조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속적인 의료기관의 참여 유도와 함께 양질의 금연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단체와 협의하여 의료인 교육을 3월부터 추진하고,

체계적인 금연치료 상담 및 처방을 위한 지침서를 각 의료기관에 배포하여 현재 활용 중에 있으며,

아울러, 많은 흡연자의 금연치료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참여방법, 사업 내용 등에 대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저소득층의 금연치료비 부담완화를 통해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건강보험료 하위 20%이하의 저소득층의 금연치료 본인부담금과 의료수급대상자에 대한 진료 및 치료비는 건강보험 금연치료 프로그램에서 정한 총비용 수준에서 전액 지원할 계획이다.

복지부와 건보공단이 협약을 체결하여 모든 지원절차가 별도의 전산시스템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 의료급여수급자 및 저소득층은 금연치료를 실시하는 가까운 병의원을 방문하면 환급 등 번거로운 행정절차 없이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저소득층 해당 여부 등 동 사업 추진 관련 주요 문의 사항은 건강보험공단 콜센터(1577-1000)로 문의 가능

<병·의원 등 본인부담 및 전문의약품 등 지원 상한액>

<병·의원 등 본인부담 및 전문의약품 등 지원 상한액>
구 분 병의원진료비 본인부담 약국관리비용 본인부담 전문의약품 지원상한액(정액) 금연보조제 지원상한액(정액)
보험 가입자 일반대상자 30% 30% 부프로피온 1일 2알 1,000원 바레니클린 1일 2알 2,000원 1일 1,500원
저소득층 없음 없음 부프로피온 1일 2알 1,360원 바레니클린 1일 2알 3,540원 1일 2,940원

 

[보건복지부 2015-02-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85 전기저장장치(ESS) 활용촉진 전기요금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3 142
13084 주요 가공식품 유통업태별 장바구니 가격차 최대 7.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5 142
13083 설 선물세트, 유통업태별 가격 비교 후 구입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142
13082 무인비행장치(드론), 이것만 지키면 모두가 안전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8 142
13081 신용평가 정보제공의 충실성 확보를 위한 세칙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42
13080 휴대전화 본인인증시 불필요한 광고 동의 주의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2 141
13079 고지의무 위반을 이유로 보험사가 일방적으로 보험 계약을 해지-변경하는 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1 141
13078 양곡표시사항의 쌀 등급 중 ‘미검사’삭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3 141
13077 성지순례 기간 중 사우디 여행 시 메르스 예방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2 141
13076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판정 주기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0 141
13075 인천공항 ‘전용출국통로’ 이용자 범위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2 141
13074 정촌-호탄간 국도 준공, 진주시 국대도 전구간 개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4 141
13073 (참고자료)스마트공장 1,240개 구축 지원으로 생산성 25% 향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1 141
13072 '16년 1월 항공여객 842만 명으로 13.4%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9 141
13071 '15.4월 전월세 거래량은 12.9만건으로 전월대비 19.6%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5 141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