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민 100명 중 한 명이[협심증]환자,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중요

협심증 진료환자 09년 47만 → 13년 55만, 매년 3.91%씩 증가

13년 인구 십만명당 협심증 진료환자 1,116명(국민 100명당 1명꼴)

... 60대 100명당 3.8명, 70대 100명당 5.7명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 협심증(I20)'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9년 47만 8천명에서 2013년 55만 7천명으로 매년 약 3.91%씩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하면 2009년 985명에서 2013년 1,116명으로 분석되어, 국민 100명 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 ‘ 협심증’ 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2009∼2013년 ‘ 협심증’ 진료현황>

<2009∼2013년 ‘ 협심증’ 진료현황>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
진료인원(명) 478,644 503,306 534,901 551,251 557,967 3.91%
10만명당 진료인원(명) 985 1,029 1,085 1,110 1,116 3.19%
총진료비(백만원) 489,171 522,313 542,789 565,918 566,173 3.72%

2013년 기준 연령대별 ‘ 협심증’ 진료환자는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의 90%를 차지하는데, 이 중 60대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여 전체 ‘ 협심증’ 진료환자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3년 연령대별 ‘ 협심증’ 진료인원 구성비 】

인구수를 보정하기 위해 연령대별 인구 십만명 당 ‘ 협심증’ 진료환자를 계산해보면 60대 3,876명, 70대 5,716명으로 분석되어 70대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70대 인구 100명 중 5.7명이 연간 1회 이상 협심증 진료를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2013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 당 ‘ 협심증’ 진료인원(명) 】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협심증 진료환자는 연령대별로 서로 다른 추이를 보였는데 연령대별 인구 십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해보면,

30대 이하와 40대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70대 이상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80세 이상은 2009년 4,113명에서 2013년 5,088명으로 증가해 매년 평균적으로 5.5%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50대와 60대는 약간 감소하거나 환자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 2009∼2013년 연령대별 인구 십만명당 ‘ 협심증’ 진료환자수, 연평균 증가율 】

◈ 작성기준 ◈

수진기준(진료실인원은 약국제외)

주상병 협심증(I20) 수진기준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에 의함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제외), 비급여 제외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 교수는 협심증 환자의 증가 이유, 협심증 예방 및 관리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협심증의 정의

심근(심장근육)에 허혈이 있어서 흉통(chest pain)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을 말한다.

협심증의 증상 및 원인

대표적인 증상으로 흉통이 있으며, 대개의 경우 운동/활동/스트레스/추위(coldness) 등에 더 악화되고, 휴식하면 나아지는 양상이다. 이외에도 호흡곤란, 심계항진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드물게는 흉통보다는 치통/왼쪽 상지 통증/상복부 통증 등의 방사통이 주된 경우도 있다.

협심증의 주된 원인은 동맥경화에 의하여 관상동맥 (심근에 동맥혈을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진 경우이며, 이외에도 관상동맥의 경련, 관상동맥교(milking/bridging), 대동맥판막 질환, 심한 심실비대 등이 원인이 되며, 전신적인 원인으로 심한 빈혈,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질환 등이 있을 수 있다.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

대부분의 협심증은 기본적으로 동맥경화에 의한 관상동맥 협착으로, 이는 일종의 노화 현상이므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빈도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평균 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협심증 환자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50대 이상에서 협심증 환자가 많은 이유

위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원인으로 동맥경화에 의한 경우가 많으므로, 50대 이상의 환자에서 호발하게 된다.

20대∼40대에서는 환자가 감소한 이유

연령상 아직은 심한 동맥경화에 의한 증상이 적을 뿐이며, 기본적으로 동맥경화는 20-30대부터도 발생하므로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은 협심증 예방 및 관리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협심증 치료법

약물 치료가 기본이며, 약물 치료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심근 허혈의 범위가 크거나, 중요 혈관의 협착이 심한 경우에는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술 등의 적극적인 재관류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

협심증 예방 및 관리요령

협심증의 예방은 기본적으로 동맥경화를 악화시킬 수 있는 상황(예를 들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운동부족, 대사성 증후군, 스트레스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평소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 및 적절한 식습관을 유지하여야 한다.

 

[보건복지부 2015-02-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8 2014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결과 178억원 부당청구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118
277 보험계약전 알릴의무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78
276 공공기관 ‘핑퐁민원’(민원 떠넘기기) 사라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4 91
275 대학생 노리는 불법 다단계 판매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80
274 ‘욱!’ 하고, 의심하고...사회생활 어렵게 하는 ‘인격 및 행동장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67
273 신학기 학교 내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68
272 2015년 2월 강원지역 소비자물가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70
271 대포통장 모집수단 ‘아르바이트 공고’가 가장 많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78
270 가해학생이 다수인 학교폭력, 개인별로 면밀히 살펴서 처벌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109
269 3월 5일부터 자동화기기(ATM)에서 IC칩이 없는 MS신용카드의 카드대출(현금서비스 및 카드론) 이용이 전면 제한됩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117
268 행복주택 입주자격, 간편하게 진단해 드려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117
267 여성에게 흔한 엄지발가락 변형「무지외반증」, 최근 남성환자 늘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69
266 목돈 마련을 통해 빈곤탈출의 사다리가 되어드립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83
265 「긴급복지지원법」시행령,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65
264 ㈜태양생활건강, 갈변현상 발생한「뮤직스타」자발적 회수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81
Board Pagination Prev 1 ... 897 898 89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