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설 명절 기간에 건강하고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 보관하는 방법과 안전한 의약품 복용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식약처는 최근 바이러스성 장염이 유행하고 있어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특별히 주의하고 설명절 음식은 열량이 높아 과식은 피할 것과 의약품 복용 시 정해진 용법·용량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노로바이러스 등 식중독 예방 요령〉
○ 설 명절기간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명절음식 계획부터 식재료 구입, 조리·보관, 섭취까지 보다 꼼꼼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 식재료는 필요한 양만큼 신선도와 유통기한 등을 확인하고 구입한다.
- 재료 손질을 위한 칼‧도마 등 조리도구는 재료가 바뀔 때마다 충분히 세척·소독하고, 음식물은 내부까지 충분히 익도록 가열 조리(85℃, 1분 이상) 하여야 한다.
- 추운 날씨라 하여 베란다 등에 조리 음식을 보관하는 경우 햇빛 등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세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냉장고에 보관한다.
- 조리한 음식은 가급적 바로 먹고 부득이 보관할 경우 조리 직후 덮개를 덮어서 냉장보관하고, 냉장보관된 음식은 재가열한 후 섭취하도록 한다.
○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음식물 섭취와 사람 간 전파로도 식중독을 쉽게 확산시킬 수 있어 많은 사람이 모이고 한 번에 많은 음식물을 미리 만들어 놓는 설 연휴 기간에 주의가 필요하다.
- 특히 어패류는 가급적 생식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씻어 냉장고에 보관했던 채소류도 먹기 전에 다시 씻어 먹도록 한다.
- 또한 화장실 사용 후·조리 전·귀가 후에는 반드시 비누 등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깨끗이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음식물 섭취 시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함부로 지사제 등을 복용하지 말고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여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제수용 식품 보관 시 주의사항〉
○ 제수용 밤, 호두 등 견과류는 실내에 노출시켜 보관하면 견과류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거나 곰팡이 오염으로 인한 아플라톡신 등 곰팡이독소 발생우려가 있으므로 외부공기와 습기를 차단 할 수 있는 밀폐용기 또는 지퍼백에 보관해야 한다.
※ 아플라톡신 : 간독성을 일으키며 국제암연구소에서 Group1(발암물질)로 분류
○ 제수용 과일인 사과, 배, 감 등은 에틸렌 가스를 방출해 바나나, 양배추, 양상추, 가지, 오이 등 대부분의 과일·채소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냉장고 등 밀폐된 장소에서 함께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 에틸렌가스 : 식물 생장 중 잎을 떨어뜨리거나 열매를 잘 익게 하는 기능을 하는 식물호르몬의 일종
- 사과, 배, 단감 등의 적정 보관온도는 대개 0~2℃이나, 이 외 바나나, 토마토, 파인애플 등은 저온에서 품질이 현격히 저하되므로 냉장고나 차가운 곳에 보관은 피하도록 한다.
- 과일 건조를 막기 위해 비닐팩 등에 싸서 보관할 경우에는 완전히 밀폐하기 보다는 2~3개의 구멍을 뚫어 산소를 공급받아 시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제수용 육류는 그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보관해야 한다.
- 얇게 썬 소고기나 돼지고기는 단면이 넓어 그만큼 상하기도 쉬우므로 개봉 즉시 요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남은 고기는 밀봉해서 냉장고에 보관한다.
- 두껍게 썬 고기를 냉장 보관하는 경우엔 1~2일을 넘기지 말아야 하며, 고기를 여러 장 겹쳐 보관하면 겹친 부분의 색이 변하므로 이러한 현상 방지를 위해서는 랩이나 비닐을 끼워 보관하도록 한다.
- 다진 고기는 부패 속도가 가장 빠르므로 구입 즉시 물기를 제거하고 밀봉하여 냉장 보관 시에는 1~2일, 냉동 보관 시는 2주 내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건강한 명절음식 섭취요령〉
○ 명절 음식은 조리 특성상 열량이 높고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어 한 끼만 먹어도 하루에 섭취해야 할 영양성분량에 근접하며 평소보다 과식하기 쉬우므로 섭취에 유의하도록 한다.
- 예를 들어, 한 끼에 떡국과 소갈비찜, 동태전, 동그랑땡, 잡채, 시금치나물, 배추김치를 먹고 후식으로 식혜와 배를 먹은 경우 총 섭취 열량은 1,520kcal로 하루권장섭취량(기준 2,000kcal)의 약 75%에 이르며, 나트륨 섭취량은 3,217mg으로 WHO 권고량 2,000mg를 초과하게 된다.
※ 설음식 열량 및 나트륨 함량 : 떡국(1/2인분, 400g) 356kcal, 964mg / 소갈비찜(1중간접시, 250g) 495kcal, 754mg / 동태전(약3조각, 75g) 134kcal, 351mg / 동그랑땡(약5개, 75g) 155kcal, 277mg / 잡채(1/2 중간접시, 75g) 102kcal, 330mg / 시금치나물(1작은접시, 50g) 40kcal, 218mg / 배추김치(1/2작은접시, 50g) 19kcal, 312mg / 식혜(1컵, 150ml) 130kcal, 3mg / 배(중 1/2개, 225g) 89kcal, 8mg
* 출처 : 명절‧제사음식 영양성분 자료집(식품의약품안전처 2014.9.)
○ 전은 두부‧버섯‧채소 등을 사용하여 식재료를 통해 섭취하는 열량을 최소화 하고 조리 후 기름을 충분히 제거하며, 짠 음식은 과식을 유발하므로 되도록 싱겁게 조리한다.
- 나물 준비 시 기름에 볶는 대신 무치거나 데치고, 떡국은 국물을 싱겁게 끓여 먹기 직전에 고명 등으로 간을 하고, 남은 전이나 부침 등은 기름을 다시 사용하지 않고 데우는게 좋다.
○ 설 연휴 동안 높은 열량과 나트륨, 지방 등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 ▲섭취 시 먹을 만큼만 덜어 먹기 ▲소금, 간장 사용 양을 줄이고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천연재료 사용하기 ▲국물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먹기 ▲잦은 음주, 안주 섭취 줄이기 등 개인별 영양관리를 실천하도록 한다.

<멀미약 등 의약품 복용 시 주의사항>
○ 정제, 액제, 츄어블정 등의 멀미약은 승차 30분에서 1시간 전에 복용하고 추가 복용 시에는 4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복용하며, 패치는 최소한 4시간 전에 붙인다.
- 멀미약은 감기약, 해열진통제 등 다른 의약품과 함께 복용하지 말아야 하며, 멀미약 복용 시 졸음, 방향 감각 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 특히 어린이의 경우 연령별 사용량을 확인한 후 투여하고 패치제는 ‘어린이용’을 사용하도록 한다.
○ 열이 나거나 두통이 있을 때 많이 복용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는 간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시에는 음주를 피해야 한다.
○ 과식 등으로 인해 소화제를 복용할 경우 2주 정도 투여해도 증상 개선이 없으면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나 약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 식약처는 안전한 음식 취급·보관요령과 의약품 복용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건강한 명절 연휴를 보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2-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40 녹내장 치료제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90
5539 노후화된 바닥매트, 주기적으로 교체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3 56
5538 노후주택, 연금으로 바꿔드려요…9일부터 주택 매입공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10
5537 노후생활지원부터 내차관리까지 「정부24」 통합 서비스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0 47
5536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보조금 체계 개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45
5535 노후간판 교체사업 눈먼 보조금, 관리실태 심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2
5534 노후 아파트 세대 내 소방시설 관리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166
5533 노후 아파트 세대 내 소방시설 관리 필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129
5532 노후 소화기 폐기방법 소화기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4 67
5531 노후 단독주택, 전기안전에 취약해 화재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5 77
5530 노후 김치냉장고 화재 체크 - (주)위니아딤채 노후 김치냉장고 자발적 리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2 75
5529 노후 기계식주차장 특별안전점검에 나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12 12
5528 노후 경유차 환경개선부담금 징수제도 보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19
5527 노화 관련 질환,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더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03 12
5526 노인학대 현장조사 거부 또는 업무 방해자 1천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6 14
Board Pagination Prev 1 ...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