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설 명절 기간에 건강하고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 보관하는 방법과 안전한 의약품 복용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식약처는 최근 바이러스성 장염이 유행하고 있어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특별히 주의하고 설명절 음식은 열량이 높아 과식은 피할 것과 의약품 복용 시 정해진 용법·용량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노로바이러스 등 식중독 예방 요령〉
○ 설 명절기간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명절음식 계획부터 식재료 구입, 조리·보관, 섭취까지 보다 꼼꼼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 식재료는 필요한 양만큼 신선도와 유통기한 등을 확인하고 구입한다.
- 재료 손질을 위한 칼‧도마 등 조리도구는 재료가 바뀔 때마다 충분히 세척·소독하고, 음식물은 내부까지 충분히 익도록 가열 조리(85℃, 1분 이상) 하여야 한다.
- 추운 날씨라 하여 베란다 등에 조리 음식을 보관하는 경우 햇빛 등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세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냉장고에 보관한다.
- 조리한 음식은 가급적 바로 먹고 부득이 보관할 경우 조리 직후 덮개를 덮어서 냉장보관하고, 냉장보관된 음식은 재가열한 후 섭취하도록 한다.
○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음식물 섭취와 사람 간 전파로도 식중독을 쉽게 확산시킬 수 있어 많은 사람이 모이고 한 번에 많은 음식물을 미리 만들어 놓는 설 연휴 기간에 주의가 필요하다.
- 특히 어패류는 가급적 생식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씻어 냉장고에 보관했던 채소류도 먹기 전에 다시 씻어 먹도록 한다.
- 또한 화장실 사용 후·조리 전·귀가 후에는 반드시 비누 등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깨끗이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음식물 섭취 시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함부로 지사제 등을 복용하지 말고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여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제수용 식품 보관 시 주의사항〉
○ 제수용 밤, 호두 등 견과류는 실내에 노출시켜 보관하면 견과류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거나 곰팡이 오염으로 인한 아플라톡신 등 곰팡이독소 발생우려가 있으므로 외부공기와 습기를 차단 할 수 있는 밀폐용기 또는 지퍼백에 보관해야 한다.
※ 아플라톡신 : 간독성을 일으키며 국제암연구소에서 Group1(발암물질)로 분류
○ 제수용 과일인 사과, 배, 감 등은 에틸렌 가스를 방출해 바나나, 양배추, 양상추, 가지, 오이 등 대부분의 과일·채소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냉장고 등 밀폐된 장소에서 함께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 에틸렌가스 : 식물 생장 중 잎을 떨어뜨리거나 열매를 잘 익게 하는 기능을 하는 식물호르몬의 일종
- 사과, 배, 단감 등의 적정 보관온도는 대개 0~2℃이나, 이 외 바나나, 토마토, 파인애플 등은 저온에서 품질이 현격히 저하되므로 냉장고나 차가운 곳에 보관은 피하도록 한다.
- 과일 건조를 막기 위해 비닐팩 등에 싸서 보관할 경우에는 완전히 밀폐하기 보다는 2~3개의 구멍을 뚫어 산소를 공급받아 시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제수용 육류는 그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보관해야 한다.
- 얇게 썬 소고기나 돼지고기는 단면이 넓어 그만큼 상하기도 쉬우므로 개봉 즉시 요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남은 고기는 밀봉해서 냉장고에 보관한다.
- 두껍게 썬 고기를 냉장 보관하는 경우엔 1~2일을 넘기지 말아야 하며, 고기를 여러 장 겹쳐 보관하면 겹친 부분의 색이 변하므로 이러한 현상 방지를 위해서는 랩이나 비닐을 끼워 보관하도록 한다.
- 다진 고기는 부패 속도가 가장 빠르므로 구입 즉시 물기를 제거하고 밀봉하여 냉장 보관 시에는 1~2일, 냉동 보관 시는 2주 내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건강한 명절음식 섭취요령〉
○ 명절 음식은 조리 특성상 열량이 높고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어 한 끼만 먹어도 하루에 섭취해야 할 영양성분량에 근접하며 평소보다 과식하기 쉬우므로 섭취에 유의하도록 한다.
- 예를 들어, 한 끼에 떡국과 소갈비찜, 동태전, 동그랑땡, 잡채, 시금치나물, 배추김치를 먹고 후식으로 식혜와 배를 먹은 경우 총 섭취 열량은 1,520kcal로 하루권장섭취량(기준 2,000kcal)의 약 75%에 이르며, 나트륨 섭취량은 3,217mg으로 WHO 권고량 2,000mg를 초과하게 된다.
※ 설음식 열량 및 나트륨 함량 : 떡국(1/2인분, 400g) 356kcal, 964mg / 소갈비찜(1중간접시, 250g) 495kcal, 754mg / 동태전(약3조각, 75g) 134kcal, 351mg / 동그랑땡(약5개, 75g) 155kcal, 277mg / 잡채(1/2 중간접시, 75g) 102kcal, 330mg / 시금치나물(1작은접시, 50g) 40kcal, 218mg / 배추김치(1/2작은접시, 50g) 19kcal, 312mg / 식혜(1컵, 150ml) 130kcal, 3mg / 배(중 1/2개, 225g) 89kcal, 8mg
* 출처 : 명절‧제사음식 영양성분 자료집(식품의약품안전처 2014.9.)
○ 전은 두부‧버섯‧채소 등을 사용하여 식재료를 통해 섭취하는 열량을 최소화 하고 조리 후 기름을 충분히 제거하며, 짠 음식은 과식을 유발하므로 되도록 싱겁게 조리한다.
- 나물 준비 시 기름에 볶는 대신 무치거나 데치고, 떡국은 국물을 싱겁게 끓여 먹기 직전에 고명 등으로 간을 하고, 남은 전이나 부침 등은 기름을 다시 사용하지 않고 데우는게 좋다.
○ 설 연휴 동안 높은 열량과 나트륨, 지방 등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 ▲섭취 시 먹을 만큼만 덜어 먹기 ▲소금, 간장 사용 양을 줄이고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천연재료 사용하기 ▲국물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먹기 ▲잦은 음주, 안주 섭취 줄이기 등 개인별 영양관리를 실천하도록 한다.

<멀미약 등 의약품 복용 시 주의사항>
○ 정제, 액제, 츄어블정 등의 멀미약은 승차 30분에서 1시간 전에 복용하고 추가 복용 시에는 4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복용하며, 패치는 최소한 4시간 전에 붙인다.
- 멀미약은 감기약, 해열진통제 등 다른 의약품과 함께 복용하지 말아야 하며, 멀미약 복용 시 졸음, 방향 감각 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 특히 어린이의 경우 연령별 사용량을 확인한 후 투여하고 패치제는 ‘어린이용’을 사용하도록 한다.
○ 열이 나거나 두통이 있을 때 많이 복용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는 간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시에는 음주를 피해야 한다.
○ 과식 등으로 인해 소화제를 복용할 경우 2주 정도 투여해도 증상 개선이 없으면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나 약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 식약처는 안전한 음식 취급·보관요령과 의약품 복용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건강한 명절 연휴를 보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2-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98 2020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7 5
13597 평균기온이 큰 폭으로 하강하는 12월 맞아 ‘한파’ 관련 민원예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8 5
13596 기아·현대·토요타·벤츠, 스텔란티스 등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2 5
13595 냉동과일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4 5
13594 주민투표법 개정을 통한 주민주권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5 5
13593 즐거운 봄나들이, 안전한 이륜차 운행을 부탁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1 5
13592 정부, 4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1 5
13591 생활 속 위험에서 지켜줄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1 5
13590 추석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8 5
13589 [금융꿀팁] 금리인상기 슬기로운 금융생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8 5
13588 폭염 속 우리 아기 더 뽀송하도록 챙기겠습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1 5
13587 특별재난지역 집중호우 피해복구 지적측량수수료 감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9 5
13586 국민권익위,“재난지원금 지원대상에서 법인 대표자와 법인은 별개로 보아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9 5
13585 복지로시스템 온라인신청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0 5
13584 2022년 9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3 5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