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모든 시도 및 시군구의 가축재해보험 지방비 지원절차를 일원화하였다고 밝혔다.
One-Stop 보험가입 서비스를 실시하여 축산농가에서 가축재해보험 가입을 희망하는 경우 국가, 시도, 시군구에서 지원하는 보험료를 제외한 농가 부담 보험료만 납부하고, 지방비는 예산한도내 선착순으로 신규계약 1회만 지원 등 농가에서 축협 등 대리점 1회 방문으로 보험가입이 되도록 절차를 간소화하고 농가 편의를 높였다.
이를 위하여 가축재해보험 지방비 지원절차를 시도와 협의를 거쳐 통일하기로 하고, 보험사 전산망도 재정비하였다.
기존에 국가와 농가보험료로 구분하던 보험사 전산시스템을 국가, 시도, 시군구, 농가보험료로 세분화하고 지자체 지원기준을 사전 입력하여 보험료가 자동계산되도록 정비하였다. 농가에서 가입신청시 지자체 예산, 지원비율, 농가당 지원한도, 지원두수한도 등에 따라 농가부담 보험료만 납부하면 되고 시군구에 다시 방문하여 지방비 지원요청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된다.
과거 지방비 지원 대상자를 사전 선정하거나 선착순 지원하는 등 지자체별로 상이한 지방비 지원 방식을 모든 지자체에서 선착순 지원하는 방식으로 일원화하였다. 다만 시군구에서 보조금 미반환 등 사유로 제외대상자로 통보한 경우 국비는 그대로 지원되나 지방비는 선착순 지원에서 제외하고 있다.
지자체 예산 부족에 따라 많은 농가에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규 계약 1회에 한하여 지방비가 지원되도록 하고 중간에 계약변경으로 보험료가 증액이 된 경우에는 국비는 추가 지원되지만 지방비는 추가 지원되지 않도록 통일하였다.
이처럼 보험사 전산망 재정비와 지자체 지원절차 일원화로 시군구의 지방비 지원 대상자 사전 신청, 대상자 선정 후 대리점에 보험가입 신청, 시군구에 다시 지방비 지원 신청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1회 방문으로 보험가입이 되도록 개선하였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지방비 지원절차를 일원화하여 보험사내 지방비 전산화를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이번에 가축재해보험도 전산화를 통하여 신속하게 업무를 추진하고 One-Stop보험가입서비스를 실시하여 농가 편의를 높이게 되었다.
올해 3월부터는 농식품부내 재해보험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보험사 전산망과 연계하여 시도와 시군구에서 자체적으로 보험가입실적을 조회할 수 있게 되어 지방비 정산에도 투명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가축재해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축산농가에서 불의의 사고를 당한 경우 재기할 수 있도록 총보험료 중 국가에서 50%를 지원하고 시도와 시군구의 실정에 따라 지방비를20~40% 추가 지원하고 있어 실제 농가부담은 10~30%이다.
가축재해보험에 가입을 원하는 축산농가는 농협손해보험(1644-9000), LIG손해보험(1544-0114)으로 전화하거나 가까운 지역 농축협, LIG손해보험 대리점 등에 방문하면 보험가입을 할 수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가 지원 예산은 충분하지만 축산농가가 많은 지자체의 지방비 지원 예산이 조기에 소진될 수 있으므로 가입을 서두르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한편, 가축재해보험 가입대상은 16축종으로 소, 돼지, 말, 가금류(닭오리꿩메추리칠면조거위타조관상조), 기타가축(사슴양벌토끼오소리)이 해당된다.
작년 가축보험은 1만1천여 농가에서 2억 1천8백만마리를 가입하였고 주요 축종별로 닭 1억9천6백만마리, 돼지는864만마리, 오리 816만마리, 소 20만마리가 가입하였다. 보험금은 4천 6백여 농가에 693억을 지급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02-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05 「경추간판장애」, 50대에서 진료인원수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255
13604 대한민국 전자정부, 동유럽 진출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7 255
13603 프라이팬, 코팅 및 손잡이 강도 등 품질 대체로 우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255
13602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3 254
13601 플라스틱 수도꼭지도 욕실, 주방에 쓸 수 있게 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3 253
13600 전지카트리지 결함으로 화상·화재 우려 있는 아이리스오야마 충전식 진공청소기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8 253
13599 2015년 일용직근로자 39만명 국민연금 신규 가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7 253
13598 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같은 은행에서 고정금리대출로 갈아타는 경우 중도상환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3 253
13597 건설신기술 특허심사 1년으로, 해외특허 취득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0 251
13596 만성질환 국가관리, 효과 나타나 <① 고혈압 평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7 251
13595 끈에 의한 부상 위험있는 룰루레몬 여성용 상의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3 250
13594 르노삼성자동차(주) QM3 차량 앞유리 크랙 무상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2 250
13593 행자부, 재외국민 주민등록 도움센터 열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5 250
13592 개성공단 근로자 6개월간 건강보험료 경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6 249
13591 계좌이동서비스 3단계 시행 1주일간 이용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9 249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919 Next
/ 9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