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탭 오사용 시 화재 위험, 어린이 사고 많아 보호자 주의 필요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Sep 04,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필수 가전의 범위 확대로 가정 내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멀티탭·콘센트· 플러그의 과부하 등으로 인한 화재 및 화상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관련 안전사고는 총 387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 국립소방연구원(원장 김연상) 및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멀티탭‧콘센트‧플러그 안전사고(이하 ‘멀티탭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연도별 접수 건수: (’20년) 79건 → (’21년) 52건 → (’22년) 62건 → (’23년) 93건 → (’24년) 101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52개 소방서, 2개 유관기관 등 112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자칫 화재 등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멀티탭 등 안전사고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 관련’이 44.7%(173건)로 가장 많았고, ‘화재‧과열 관련’ 25.1%(97건), ‘물리적 충격’ 16.8%(65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감전, 누전, 합선 등 ‘전기 관련’ 원인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는데 이는 화재 등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대부분 ‘주택’에서 발생, 위해 증상은 ‘화상’이 절반 차지

멀티탭 등 안전사고로 위해를 입은 240건을 분석한 결과, ‘주택’이 위해발생 장소의 84.6%(203건)를 차지해 상당수의 사고가 가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증상의 경우, ‘화상’을 입은 사례가 48.3%(116건)로 가장 많았고, ‘전신 손상’도 17.5%(42건)로 다수 확인됐다.

연령이 확인된 안전사고 239건 중 절반(48.1%, 115건)이 ‘10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멀티탭 등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와 관찰이 요구된다.

국가기술표준원, 국립소방연구원 및 한국소비자원은 멀티탭‧콘센트‧플러그 안전 사용을 위한 주의사항을 배포하고, 야외 점포와 노후화된 멀티탭이 많은 전통시장을 방문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을 미리 확인하고 멀티탭의 정격용량[W=전압(V)×전류(A)]을 초과하지 않게 사용할 것, ▲멀티탭에 또 다른 멀티탭을 연결해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또한 ▲에어컨, 온열기 같이 높은 소비전력의 제품은 벽면의 전용‧단독 콘센트를 사용할 것, ▲멀티탭의 전선이 휘어지거나 무거운 물건에 눌려 손상되지 않도록 관리할 것 등을 강조했다.



[ 국가기술표준원 2025-09-04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