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휴가, 물놀이사고·폭염·식중독 특히 조심!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Jul 30,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여름 휴가철에 발생하기 쉬운 물놀이사고와 폭염 속 온열질환, 식중독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최근 5년(2020~2424)간 물놀이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12명이며, 이 중 절반 정도인 54명(48%)이 8월에 발생했다. 특히, 여름휴가 절정기인 8월 초순에 27명으로 가장 많았다.

 ○ 원인으로는 구명조끼 미착용 등 안전부주의가 37%로 가장 많았고, 수영미숙 34%, 음주수영 17%, 높은 파도(급류) 7% 순이다.

 ○ 8월은 해파리와 같은 독성 바다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환자가 급증하는 시기로, 월별 가장 많은 2,082명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 또한, 휴가 기간에는 야외 활동도 많아지며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과 식중독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 특히, 올해 7월 서울의 낮 기온이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운 날씨를 기록하는 등 연일 지속된 폭염으로 온열질환자(5.15.~7.26.)도 지난해 같은 기간(906명)보다 2.6배 많은 2,311명 발생했다.


○ 여름에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음식이 빨리 상해 식중독에 노출되기 쉽다. 최근 5년(2020~2024)간 발생한 식중독은 총 1,352건이며, 장마철인 7월에 가장 많은 196건이 발생했고, 8월이 163건으로 뒤를 이었다.


□ 안전하게 여름휴가를 즐기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물놀이사고 및 해파리 쏘임 예방》


 ○ 물놀이 위험구역과 금지구역에는 들어가지 않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음주 후에는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 물놀이나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물에 들어갈 때는 체형에 맞는 구명조끼를 선택해 반드시 입는다.


 ○ 어린이는 보호자와 항상 함께하고, 신발 등이 떠내려가도 무리하게 따라가지 말고 주변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미리 교육한다.


 ○ 바다에 들어갈 때 전신수영복이나 긴소매 옷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 해파리 쏘임을 예방한다.


 ○ 바닷속에서 갑자기 피부가 따끔거리는 등 해파리에 쏘임이 의심되면 바로 물 밖으로 나와 안전요원이나 119의 도움을 받는다.


   - 이때, 쏘인 부위를 손으로 문지르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해파리가 피부에 달라붙었을 때는 맨손으로 제거하려 하지 말고 주변의

      물건이나 장갑 등으로 떼어낸다.


《온열질환 및 식중독 예방》


 ○ 무더위 속에 등산 등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양산이나 모자로 햇볕을 차단하고, 옷은 헐렁하고 가볍게 입는다.


 ○ 갈증이 느껴지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시고, 술이나 카페인, 탄산이 든 음료를 과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특히, 폭염에 어린이나 노약자를 차 안에 잠시라도 혼자 두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 또한, 무더운 날씨일수록 개인위생에 신경 쓰고, 음식은 가급적 익히거나 끓여서 먹는다.


   - 음식물이나 식재료를 직접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짐칸 등에 넣어두면 부패하기 쉬우므로 얼음상자(ice box)에 넣어 보관한다.


 ○ 아울러, 음식을 먹은 후 구역질이나 구토, 복통, 설사, 발열, 두드러기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식중독일 수 있으니 즉시 병원 진료를 받는다.


□ 김주이 안전정책국장은 “일상을 떠난 휴가일수록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국민 개개인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 “관련된 예방요령을 충분히 숙지하고 대비해 사고 없는 안전한 휴가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 행정안전부 2025-07-30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