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여름철 물가에서 물놀이를 즐길 때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물놀이 사고 예방요령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 최근 5년간(’20~’24) 물놀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12명이며, 이 중 여름 방학과 휴가가 시작되는 7월 하순에 가장 많은 31명이 발생했다.
○ 장소별로는 하천(강)이 39명(35%)으로 가장 많았고, 계곡 33명(30%), 해수욕장 25명(22%), 바닷가(갯벌, 해변) 15명(13%) 순으로 발생했다.
○ 원인별로는 구명조끼 미착용 등 안전부주의가 41명(37%)으로 가장 많았고, 수영미숙 38명(34%), 음주수영 19명(17%), 높은 파도(급류) 순이다.
○ 연령대별로는 50대와 10대가 각각 20명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10세 미만도 7명이 발생해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 수심이 깊고 물살이 빨라 물놀이가 금지된 구역은 매우 위험하니 절대 들어가지 않고, 가급적 안전요원이 있는 장소를 이용한다.
- 물놀이장에서는 안전요원의 안내에 따르고, 지정된 안전구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물놀이나 수상 레저, 낚시 등을 할 때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한다.
○ 어린이는 보호자와 항상 함께하고, 튜브나 신발 등이 떠내려가도 무리하게 따라가지 말고 주변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미리 교육한다.
○ 물놀이 시 무리한 경쟁과 행동은 삼가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음주 후에는 절대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큰 소리로 주변에 알리면서 119에 신고하고, 직접 뛰어들기보다는 현장에 비치된 안전 장비를 이용해 구조를 시도한다.
□ 김주이 안전정책국장은 “7월 하순부터는 방학과 휴가철이 본격적으로 시작해 물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이 급증하는 시기”라며,
○ “물놀이를 즐기실 때에는 안전수칙을 꼭 지켜 시원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