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는 어떤 감염병이 유행했나?법정감염병 발생 동향 분석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Jun 26,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방역통합정보시스템 신고 정보 분석하여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발간
- ’24년 감염병 발생 증가는 소아·청소년 중심 백일해 등 호흡기 감염병 유행 영향
- 백일해, 성홍열, 수두, CRE 감염증 등은 증가하고, 유행성이하선염, 결핵, C형간염, A형간염 등은 감소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4년 방역통합정보시스템(구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으로 신고된 법정감염병 현황을 분석하여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를 발간하였다.

연보에는「감염병예방법」제2조에 명시된 총 89종* 의 법정감염병(제1급~제4급)의 통계가 수록되어 있으며, 2024년에는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제1급~제3급) 총 66종 중 40종의 감염병이 신고되었고, 26종은 신고 건이 없었다.
  *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66종 + 표본감시 대상 감염병 23종
  
2024년 전수감시 법정감염병(제1급~제3급) 신고환자 수는 총 171,376명(인구 10만 명당 334명)으로, 2023년 5,626,627명(인구 10만 명당 10,951명)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나,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감염병 급수의 변동*이 있었던 코로나19(5,517,540명)와 매독(2,790명)을 제외하면, 신고환자 수는 총 168,586명(인구 10만 명당 329명)으로 전년(109,087명) 대비 54.5% 증가(+59,499명)하였다.
  * 코로나19 제2급→제4급 전환(’23.8.31.), 매독 제4급→제3급 전환(’24.1.1.)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5-06-26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