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누구나 더 쉽고 편하게 공공기관 누리집·앱 이용할 수 있게 된다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Jun 24,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범정부 UI/UX 고도화로 달라지는 공공 누리집·앱 모습>
 
# 공공 앱 사용이 쉬워졌어요.
자영업자인 ㄱ씨는 ‘정부24’, ‘손택스(국세청 홈텍스)’,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각종 앱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앱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르고 사용 방법이 달라 검색하고 신청하는 데 불편했다. 하지만 정부의 각종 앱에 범정부 UI/UX 디자인시스템이 적용된 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민원서류 신청, 부가가치세·소득세 신고, 정책자금 신청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 음성서비스 편해요.
노안으로 시력 저하를 겪고 있는 어르신 ㄴ씨는 화면 확대 기능을 활용해야만 공공 누리집에서 복지, 돌봄서비스, 연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공공 누리집에서 고령자, 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음성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더 이상 화면을 확대하지 않고 음성서비스를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편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됐다.

 # 외국인도 불편함 없이 공공 누리집·앱을 이용할 수 있어요.
외국인 A씨는 공공 누리집을 이용하면서 이름을 10자 이내로 제한하고 있는 곳이 많아 본인의 이름을 온전히 입력하지 못해 본인인증뿐 아니라 행정서비스 이용 시 불편함을 겪고 있었다. 디지털 정부서비스 UI/UX 가이드라인에 이름 글자 수 기준을 마련해 어느 사이트에서든 본인의 이름을 정확히 등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름 불일치로 인한 불필요한 서류 제출도 없어지게 됐다.

□ 행정안전부는 공공 누리집과 모바일앱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6월부터 12월까지 범정부 UI/UX*디자인시스템(KRDS) 고도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UI(User Interface) :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며 접하는 디자인
      UX(User eXperience) :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경험

 ○ ‘KRDS(KoRea Design System, https://www.krds.go.kr)’는 공공 누리집·앱 개발 시 필요한 가이드와 레고 블록처럼 가져다 쓸 수 있는 디자인모음, 소스코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 그동안, 공공 누리집·앱은 어려운 용어, 혼란한 메뉴 구성과 복잡한 민원 신청 방법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 이에,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일관성 있는 UI/UX를 구현하기 위해 누리집 중심의 범정부 UI/UX 디자인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개시했다.

□ 올해는 모바일앱 디자인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디지털 취약계층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해 사용자 편의성과 접근성을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 먼저, 모바일앱에서 민원 신청이나 정책정보 확인 등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앱 전용 디자인시스템을 구축한다.

 ○ 또한, 고령자, 외국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큰 접촉화면 영역, 음성서비스, 이름 글자 수 등의 기준을 마련하고, 이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개발해 제공할 예정이다.

    * 다양한 환경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독립된 모듈로서, ‘버튼’, ‘입력란’, ‘메뉴’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 작은 단위

□ 이와 함께, 각 행정·공공기관이 공공 누리집·앱에 범정부 디자인시스템(KRDS)을 잘 적용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먼저, 정부의 각종 서비스를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범정부 서비스 통합창구와 올해 연계 예정인 8개 누리집*에 범정부 디자인시스템(KRDS) 적용·연계를 직접 지원한다.

    * 권익위 국민신문고, 경찰청 경찰민원24,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국토지리원 국토정보플랫폼, 
       금융위 인허가등록신고시스템, 주택금융공사 인터넷금융서비스,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 행안부 승강기 민원24
 
 ○ 아울러, 범정부 디자인시스템(KRDS) 적용 과정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각 기관의 문의 사항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헬프데스크에 전담 인력을 투입할 계획이다.

 ○ 또한, 각 기관에서 범정부 디자인시스템(KRDS)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분석도구 구축방안을 마련해 시범 검증을 진행하고, 내년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민이 일상에서 공공 누리집이나 모바일앱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고, 수요자 맞춤형으로 앱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부서비스 전반에 디자인시스템 적용을 확산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25-06-24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