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도, 소비자를 위한 경제적 혜택 강화 필요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May 13,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정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 시장 규모는 34조 원*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으나,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실천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환경부(2024.01.),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민생과 함께하는 환경복지, 미래로 나아가는 녹색강국”
**한국소비자원(2023),「한국의 소비생활지표」, ’19년62.1점→’21년61.1점→’23년57.1점으로 실천 점수 지속 하락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전국의 성인 소비자 3,200명을 대상으로 일상에서 참여할 수 있는 친환경 제도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의 66.4%(2,125명)가 현재 친환경 제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대 친환경 제도인 탄소중립포인트,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e-라벨,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을 이용하는 1,530명의 58.0%(886명)가 ‘경제적 혜택’이 있다면 계속해서 제도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 소비자 10명 중 6명, ‘경제적 혜택’이 있어 친환경 제도를 계속 이용해
  
소비자의 친환경 제도 이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 전기수도 사용량을 절약하거나 텀블러 및 다회용기 등을 사용하면 현금으로 전환되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탄소중립포인트’를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29.0%(928명)로 나타났다. 전기 절감량에 따라 전기요금을 할인받는 ‘주택용 에너지캐시백’은 20.7%(663명), 화장품, 식품의 표시정보를 QR코드로 제공하는 ‘e-라벨’은 9.2%(295명), 녹색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은 9.1%(290명)였다.
  
4대 친환경 제도를 이용하는 소비자 1,530명의 58.0%(886명)는 ‘경제적 혜택’이 있다면 친환경 제도를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제휴처가 적어 더 이상 제도를 이용하지 않는 소비자도 일부 있어, 친환경 생활 실천률 제고를 위해서는 포인트 제휴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탄소중립포인트의 경우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소비자(928명)가 현재에도 이용하는 비율이 77.5%(719명)로 친환경 제도 중 가장 높았고, 이 중 이용의 주요 이유는 ‘경제적 혜택’(65.6%, 472명)으로 나타났다. 주택용 에너지캐시백도 경제적 혜택의 유무가 제도를 계속 이용하거나 중단하는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e-라벨을 이용해 본 소비자(295명)의 54.6%(161명)가 계속해서 제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 45.4%(134명)와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은 다른 세 가지 친환경 제도와 달리 이용을 중단한 소비자(194명)의 20.8%(31명)가 ‘이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현재 녹색매장(녹색제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지정 및 지원하는 환경부 제도)은 ’25년까지 850개소를 지정할 계획*인 반면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은 4개사(우체국쇼핑, 인터파크, 홈플러스, 현대이지웰)만 운영 중이다.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도 일상 소비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 환경부 제4차 녹색제품 구매촉진 기본계획(’21~’25), 녹색매장 지정 계획 ’20년 620개소 → ’25년 850개소
** ‘25년 온라인 녹색제품전용관 신규 확대 : 쿠팡, 컬리, ssg.com

☐ 소비자의 60.1%는 QR코드로 새활용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길 원해
  
국내 새활용 제품 시장 규모가 40억 원*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새활용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도 전체 응답자의 29.4%(941명)로 나타났다.
* EBS 뉴스(2022.12.01.), 커져가는 새활용 시장인프라 부족에 “정부 나서야” 
  
새활용은 단순히 물건을 재사용하는 재활용과 달리 버려지는 물건으로 신상품을 만드는 작업이므로 제품에 사용된 재료, 품질, 안전성을 소비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유럽에서는 이를 제도화하여 ‘27년부터 제품 정보를 QR코드로 제공할 예정이며, 국내의 경우 새활용 제품 인증서 내에 QR코드로 새활용 정보를 제공하는 새활용 민간 인증*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 환경부(2023) ‘새활용 산업 육성 지원사업’ 일환으로 한국환경산업협회를 통해 운영, 폐자원 활용 비율, 소재 수급 정보, 유해물질 검출여부, 제품성능 시험분석 등을 통과한 제품에 새활용 제품 인증서 발급 및 인증서 내 QR코드로 새활용 정보를 제공함.
  
전체 응답자의 60.1%(1,922명)가 새활용 제품 정보를 모바일을 통해 QR코드로 제공하는 제도를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대상별로는 ‘60대 이상’이 25.4%(488명), ‘50대’ 25.3%(486명), ‘40대’ 20.5%(394명) 등 순이었다.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 673명의 72.5%(488명)가 제도 이용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경우 새활용 제품 정보를 모바일로 확대해서 볼 수 있기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활용 표시에 포함할 필요가 있는 정보로는 ‘새활용된 소재를 사용한 비율, 원산지, 안전성 인증 등에 대한 정보’가 64.4%(2,060명)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내구성’ 55.4%(1,772명), ‘폐기 방법’ 23.6%(755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 느린 배송 제도가 도입된다면, 소비자는 할인쿠폰보다 포인트 적립 혜택을 선호해
  
느린 배송 제도는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물건을 주문했을 때 즉시 배송하지 않고, 배송차량에 물건이 가득 찼을 때 배송하는 제도를 말한다. 미국의 의류업체 갭(GAP)과 유럽의 가구업체 이케아(IKEA)가 5일이 소요되는 느린 배송에 할인된 요금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 한국교통연구원(2024), 글로벌 물류산업 동향
  
국내에는 아직 도입되지 않은 제도인 느린 배송 방식을 이용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 ‘포인트가 적립되는 느린 배송 방식’을 선택한 소비자는 전체 응답자의 56.7%(1,815명)로 ‘할인쿠폰이 지급되는 느린 배송 방식’ 36.3%(1,160명) 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균 배송기간(2일)보다 더 기다려 이 제도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소비자 2,175명 중 85.9%(1,868명)는 추가로 1~3일을 더 기다릴 수 있다고 응답했고, 4~7일로 답한 소비자도 14.1%(307명)였다. 소비자가 기다릴 수 있는 느린 배송 기간은 평균 3.5일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의 결과를 ▲한국소비자원 누리집에 공개하고, ▲유관부처와 지자체에 제도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일상 속 소비자의 친환경 실천 수준과 제도 개선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25-05-13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