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미끄러짐 등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Mar 25,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202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위해정보를 분석해 일상 속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52개 소방서, 2개 유관기관 등 112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전 연령대에서 안전사고 다발장소가 가정으로 나와
  
2024년 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85,639건으로, 전년(79,264건) 대비 8% 증가해 최근 5년 중(2020~2024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년70,022건→’21년74,000건(5.7%↑)→’22년78,591건(6.2%↑)→’23년79,264건(0.9%↑)→’24년85,639건(8.0%↑)
  
생애주기별* 위해 발생 장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가정(주택) 내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다. 특히 신체적 제약으로 부상의 위험이 큰 ‘영유아’(75.0%)와 ‘고령자’(68.4%)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신체적·행동적·환경적 요인에 의한 유사성을 고려해 연령분석이 가능한 63,804건으로 생애주기별 분석 수행
  영유아(0~5세), 어린이(6세~12세), 청소년(13세~18세), 청년(19세~34세), 성인(35세~64세), 고령자(65세~)

☐ 가정 내 ‘영유아’ 추락사고, 2명 중 1명은 침대에서 발생
  
세부적으로 ‘영유아’의 가정 내 안전사고(7,830건)의 주요 원인은 추락(3,252건, 41.5%)으로, 특히 침대(1,550건, 47.7%)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전체 추락 사고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최근 주목할 점은 ‘옷 갈아입히는 테이블(기저귀 교환대)’(144건, 4.4%)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2021년(51건) 대비 182.4% 증가*한 것인데, 주로 기저귀를 갈아입히는 동안 영유아가 낙상하는 사례가 많아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22년 51건 → ‘23년 125건(145.1%↑)  → ‘24년 144건(15.2%↑)

☐  ‘고령자’ 미끄러짐 사고에 주의, 특히 욕실에서 전년 대비 116.5% 증가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10,751건) 원인으로는 ‘미끄러짐·넘어짐’ (7,423건, 69.0%)이 가장 많았다.
  
특히 ‘욕실’(3,338건, 45.0%)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전년(1,542건) 대비 116.5% 증가했는데, 주로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3,174건) 문틀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86건)였다.

☐ 가정 내 추락·미끄러짐 안전사고, 무엇보다 ‘사전 예방’이 최우선
  
실내 생활이 비교적 많은 영유아와 고령자는 가정 내 안전사고에 특히 취약하므로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정 내 설치된 가구 등의 위해요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침대에는 낙상 방지를 위한 안전 난간과 충격 흡수용 바닥 매트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욕실에는 미끄럼 방지 타일(스티커)을 부착하고, 밝은 조명을 설치하며, 사용 후 물기를 즉시 제거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 ‘영유아’와 ‘고령자’의 안전사고를 집중 분석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에 발간되는 「2024년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및 통계 분석집」의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누리집(www.cis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 내 ‘안전이슈’ - ‘소비자위해동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2025-03-25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