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22-2052년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May 28,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를 기초로 최근까지의 시도별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이동) 추이를
반영해서 미래 인구변동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30년(2022~2052년)간의 시도별 장래인구를 전망한 결과임

ㅇ(총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시도별 총인구는 세종과 경기는 증가하고, 나머지 15개 시도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

ㅇ(인구성장률) 2022년 서울, 부산, 대구 등 11개 시도에서 마이너스 인구성장, 2039년부터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마이너스 인구성장을 보일 전망

ㅇ(자연증가) 2022년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출생아수보다 사망자수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 2045년부터는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연감소를 보일 전망

ㅇ(중위연령) 2052년 중위연령은 전남, 경북, 경남, 강원 등 9개 시도에서 60세를 넘어설 전망

 ㅇ(생산연령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울산(-49.9%)과 경남(-47.8%), 낮은 지역은 경기(-25.6%)와 인천(-27.8%)임

 ㅇ(고령인구) 205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전남(49.6%), 경북(49.4%), 경남(47.8%) 순으로 높고, 세종(29.3%), 서울(37.2%), 경기(37.5%) 순으로 낮음

 ㅇ(유소년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유소년인구(0~14세)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고, 울산, 경남, 전남, 경북 등 4개 시도에서는 50% 이상 감소할 전망

 ㅇ(학령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학령인구(6~21세)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고, 울산, 경남, 경북, 전북, 전남, 대구, 부산 등 7개 시도에서는 50% 이상 감소할 전망

 ㅇ(총부양비) 2022년 총부양비는 전남이 55.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2052년에는 전남, 경북, 경남, 강원, 전북 등 10개 시도에서 100명을 넘어설 전망



[ 통계청 2024-05-28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