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표시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은 다릅니다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Aug 03,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오픈마켓 등에서 소비자가 많이 구매하는 기능성 표시식품*온라인 게시물 총 240에 대해 5월부터 6월까지 부당광고 위반 여부 등을 집중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27(11.3%)을 적발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과 관할 관청에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습니다.

 

* 기능성 표시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으로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원료가 함유되어 있는 식품

 

이번 점검은 2020기능성 표시식품 제도가 도입*된 이후 관련 제품의 판매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부당광고 등 불법행위로부터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됐습니다.

 

 *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로 보지 아니하는 식품등의 기능성 표시 또는 광고에 관한 규정(식약처 고시), 2020.12.29. 제정시행

 ** 현재 116개사에서 294품목(’23.5월 기준)의 기능성 표시제품을 판매

 

주요 위반 내용은 기능성 표시식품임에도 사전에 자율심의를 받지 않은 광고(22, 81.5%)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5, 18.5%)입니다.

 

이번 점검에서 심의를 받지 않은 기능성 표시식품의 광고가 다수 적발된 만큼, 식약처는 영업자에게 기능성 표시식품표시광고를 하려는 경우 자율심의기구인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반드시 그 내용에 대해 사전 심의를 받은 후 표시광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부당광고 등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께서는 기능성 표시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차이를 잘 알고 목적에 맞게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로 제조해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라고 기능성이 표시되고 건강기능식품 마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에 비해 기능성 표시식품은 액상차, 가공유 등 기능성 원료를 사용해 기능성 표시를 허용일반식품으로, 어떤 기능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가 식품에 들어있음본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이 아님문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건전한 온라인 유통환경 조성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국민의 관심이 높은 제품을 대상으로 불법·부당광고 행위에 대해 단속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온라인 판매업체와 플랫폼업체자율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 식품·건강기능식품 허위·과대광고 등 정보는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 go.kr > 전문정보 > ‘식의약 허위·과대광고에서 확인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8-03 ]


Articles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