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수두 및 유행성이하선염 증가, 학교생활 시 감염병 조심하세요!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May 04,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새학기 시작 이후 어린이집, 유치원 및 초·중·고 학교(이하 학교등)에서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학생과 학부모에게 학교생활 중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기침할 때 분비되는 침방울(비말)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매년 봄(4월∼6월)에 환자 발생이 많으며, 단체생활을 하는 학령기에 발생 빈도가 높다.
  * 수두: 미열을 시작으로 온몸에 발진성 물집(수포)이 1주일가량 발생하며, 물집성 병변에 직접 접촉하거나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전파를 통해 감염
 ** 유행성이하선염: 귀밑 침샘(이하선)부위가 붓고 1주일가량 통증을 동반하며 기침 시 분비되는 침방울(비말)로 전파


  수두 및 유행성이하선염 의사환자는 2020년에서 2022년까지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올해 4월 29일 기준 환자발생은 총 9,033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23년 현황은 잠정통계로 변동가능


  환자 연령은 대개 4세에서 12세 사이 발생이 많고, 단체생활을 하는 특성 상 학교등 내에서 유행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학교 내 감염병 유행은 코로나19 방역상황이 완화되고 각종 대면활동이 증가하면서 유행 발생이 지속될 수 있다. 학교등 에서는 환자 발생 시 환자가 전염기간* 동안 등원‧등교를 하지 않도록 하고, 손 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씻지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 등원‧등교 중지기간: (수두) 모든 피부병변에 가피가 생길 때까지(발진 발생 후 최소 5일간)
                                     (유행성이하선염) 이하선염 증상 발생 후 5일까지


  의료기관은 만 12세 이하 어린이 내원 시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접종 시기가 되었거나 누락된 접종이 있다면 접종*을 권고하고, 의심환자에게는 감염전파 예방교육 실시 및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 가까운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 가능


  질병관리청은 학교등 단체생활을 통한 감염병 전파 예방을 위해 다음의 ‘수두·유행성이하선염 3대 예방수칙’ 준수를 거듭 강조하였다.

 

수두유행성이하선염 3대 예방수칙

◇ 첫째예방접종은 감염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수두 및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접종 미완료자는 예방접종 완료

 둘째, 자주 손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씻지 않는 손으로 눈··입 만지지 않기, 의심증상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철저

 셋째, 발열, 발진, 침샘이 부어오르는 등 감염 의심 증상징후가 있다면 진료를 받고 감염력이 소실되는 시기* 등교등원 재개

* 수두: 모든 발진 병변의 가피(딱지) 형성(발진 시작 후 최소 5) 이후

* 유행성이하선염: 증상 발현 5일 이후



[ 질병관리청 2023-05-04 ]


Articles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